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정신병동 실습현장에서의 도덕적 고뇌 경험

이용수 0

영문명
Nursing Students’ Lived Experiences of Moral Distress in Psychiatric Ward Practicums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Hyun-Ju Lee So-You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9, 261~28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병동 실습현장에서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도덕적 고뇌의 본질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5년 7월 7일부터 20일까지 일지역 간호대학생 4학년 10명을 대상으로일대일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총 4개의 범주, 11개의 주제모음, 2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범주는 ‘관리되는 일상, 배제된자기결정권’, ‘통제와 배려가 교차하는 공간’, ‘멈춰있는 회복의 시간’, ‘삶의 공간이 된 이곳’이었다. 이러한 범주들은 간호대학생들이 제한된 병동 환경 속에서 경험하는 윤리적 갈등과 제도적 한계를드러낸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병동의 회복 지향적 환경 조성과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이러한 노력이 간호교육의 질 향상과 환자돌봄의 윤리적 수준 제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노력이 간호교육의 질 향상과환자 돌봄의 윤리적 수준 제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lived experiences of moral di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ums in psychiatric war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nursing students between July 7 and July 20, 202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describ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 total of four categories, 11 theme clusters, and 25 themes were derived. The four categories were as follows: structured daily routine and excluded autonomy, intersection of control and care, stagnant recovery time, and becoming one’s only place to liv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oral distress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reflects both personal struggles and the restrictive nature of psychiatric ward environ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recovery-oriented environment in psychiatric wards and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that enhance nursing students’ moral sensitiv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Pearson
  •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 Journal of Korean Nurse Education
  • Jossey-Bass
  • Critical Social Policy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AWHONN’s Clinical Issues in Perinatal and Women’s Health Nursi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Health &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 Journal of Korean Nursing Education
  • Journal of Humanitie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Journal of Korean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Social Welfare Policy
  • Journal of Korean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 Journal of Korean Nursing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 Nursing Ethics
  •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인문학논총
  • 사회복지정책
  • 한국위기관리논집
  • 한국위기관리논집
  •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 한국정신간호학회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비판사회정책
  •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Hyun-Ju Lee,So-Young Kim. (2025).간호대학생의 정신병동 실습현장에서의 도덕적 고뇌 경험. 한국위기관리논집, 21 (9), 261-281

MLA

Hyun-Ju Lee,So-Young Kim. "간호대학생의 정신병동 실습현장에서의 도덕적 고뇌 경험." 한국위기관리논집, 21.9(2025): 261-28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