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인 가구 노인의 자살행동 정도의 변화 및 자살행동 예측요인 :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와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분석

이용수 3

영문명
Changes in Suicidal Behaviors and Their Predictor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South Korea - Analysis of the 2013 and 2021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s -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Young-Ran Hwang Nan-He Yoon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9, 207~22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3년과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1인 가구 노인의자살행동 현황과 관련 예측요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총 연구대상자 32,580명의 인구학적,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환경적 특성에 따른 자살 행동의 차이에 대햐여 복합표본을 고려한 χ² 검정을 실시하였고, 자살행동에 대한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살 생각을 한 적 없는 집단(G1)과 자살 생각 집단(G2), 자살 시도 집단(G3)을 구분하여 복합표본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2013년에 비해2021년 1인 가구 노인의 자살 생각과 자살 시도는 감소하였고, 자살행동 예측요인에도 일부 차이가있었으나 고령과 남성 노인, 낮은 소득수준과 취약한 주관적 건강수준, 통증과 신체적 기능 저하, 스트레스 및 우울감 경험, 심리 상담 경험, 미충족 의료, 동네 사회자본 및 환경에 대한 불만족 등은 1인 가구노인의 자살행동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자살행동 예측요인을 기반으로 자살 고위험집단의 조기 선별을 위한 1차 보건의료인 대상 노인 포괄 건강사정 관련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고, 1인가구 노인의 자살을 체계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suicidal behaviors and the predictors of these behavior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living alone using data from the 2013 and 2021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s. Data from both surveys (N = 32,580)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complex sampl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Compared to 2013, the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7.4%) and suicide attempts (0.1%) decreased in 2021. The predictors of suicidal behaviors showed slight variation between the two survey periods. In addition to individual physical and mental health factors,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cluding unmet medical needs, limited neighborhood social capital, and dissatisfaction with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were associated with suicide risk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in this popul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s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high-risk individuals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in comprehensive geriatric health assessments for primary healthcare provid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Young-Ran Hwang,Nan-He Yoon. (2025).1인 가구 노인의 자살행동 정도의 변화 및 자살행동 예측요인 :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와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21 (9), 207-228

MLA

Young-Ran Hwang,Nan-He Yoon. "1인 가구 노인의 자살행동 정도의 변화 및 자살행동 예측요인 :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와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21.9(2025): 207-22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