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Q-5D 건강 효용의 분포 특성에 대응한 베이지안 Two-part 모형 분석: 천장효과, 왜도, 음수값 문제의 통합적 접근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이용수 0

영문명
A Bayesian Two-Part Model for Analyzing EQ-5D Health Utility: Addressing Ceiling Effects, Skewness, and Negative Values - Based on the 2019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Hyobin Lym Youngbin Lym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9, 87~10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는 EQ-5D 지표의 분포에서 나타나는 천장효과, 데이터의 높은좌측 왜도 및 음수값 포함과 같은 비정규적 특성을 고려하여 베이지안 기반 two-part 모형을 적용하였다. 1단계에서는 완전건강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는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2단계에서는비건강집단의 EQ-5D 값을 beta 정규화와 logit 변환 후 Gaussian 기반 일반화선형혼합모형으로 분석하였다. EQ-5D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의원시자료 내 202,490명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 거주, 고학력, 고소득일수록 완전건강 상태일가능성이 높았으며, 비완전건강 집단 내에서도 높은 건강 수준을 유지하였다. 반면, 주관적 스트레스수준은 두 단계 모두에서 건강 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사회적 관계 및 비형식적 사회참여(친목활동, 여가활동)는 특히 비완전건강 집단 내 건강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연구들이 간과한 EQ-5D의 분포적 특성을 고려하여 건강 상태의 이분성과 연속성을 동시에 분석하였으며, 건강정책 수립 시 건강 수준의 연속적 다양성을 반영한 정교한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loys a Bayesian two-part model to address the non-standar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Q-5D, a widely used measur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t specifically focuses on challenges such as ceiling effects, pronounced left skewness, and the presence of negative values. The two-stage framework consists of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to model full health status and a Gaussian mixed model applied to beta-normalized and logit-transformed EQ-5D scores for individuals reporting less than full health. Using data from 202,490 respondents in the 2019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the results reveal that urban residency,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higher income level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etter health outcomes. In contrast, subjective stress adversely affects health status, whereas informal social participation positively influences it, particularly among individuals in less than full health. These findings underline the necessity for targeted and nuanced health policies that acknowledge continuous variations in health status and account for divers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determina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분석 결과
Ⅳ.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Hyobin Lym,Youngbin Lym. (2025).EQ-5D 건강 효용의 분포 특성에 대응한 베이지안 Two-part 모형 분석: 천장효과, 왜도, 음수값 문제의 통합적 접근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위기관리논집, 21 (9), 87-102

MLA

Hyobin Lym,Youngbin Lym. "EQ-5D 건강 효용의 분포 특성에 대응한 베이지안 Two-part 모형 분석: 천장효과, 왜도, 음수값 문제의 통합적 접근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위기관리논집, 21.9(2025): 87-10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