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tress Management and Training Performance in Aviation Training Environments - Focused on EAP-Based Crisis Intervention Effect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Seung Woo Yoon Jang Ryo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8, 187~19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종훈련생이 경험하는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기반 상담 개입 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종훈련 환경은 높은 집중력과 정서적 안정이 요구되는 특수성을 가지므로 훈련생의 스트레스는 학습 성과 뿐 아니라 비행안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항공교육기관 조종훈련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척도를 조사하고, EAP 기반의 체계적 상담 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학업 부담, 대인관계 갈등, 진로 불안 등의 보편 스트레스와 훈련과정의 긴장 등에 기인한 직무 스트레스가 존재함을 파악하였고, 비행교관으로부터 EAP기반의 심리상담을 받은 훈련생 집단은 정서적 안정과 자기이해, 스트레스 대처 능력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비행훈련 성취도 또한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조종훈련과정에 EAP와 같은 훈련생 스트레스 조절 프로그램 반영과 비행교관 대상의 EAP 전문교육 도입 필요성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psychological stressors in pilot trainees and the effects of Employee Assistance Program (EAP)-based counseling on stress management. Flight training requires sustained concentr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and stress can impact both learning and flight safety. A survey of students at a domestic aviation training institution assessed stress levels, comparing those who participated in structured EAP counseling with those who did not. Trainees reported academic pressure, interpersonal conflicts, career-related anxiety, and occupational stress from intensive flight training. Those who received EAP-based counseling from flight instructors showed improved emotional stability, self-awareness, and coping skills, leading to better training performanc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value of incorporating structured stress management programs such as EAP into pilot training and providing professional EAP training for instruct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