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Unre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lessness and Stock Investment in Youth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Sang Hyeong Seo Sun Kyung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8, 13~2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의 주식투자는 도박중독과 유사한 특징을 공유하고 있는 것에 주목하여, 기대효용이론에 근거해 절망감과 주식투자의 관계를 검증하고, 합리적 선택이론에 따라 사회불안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청년 515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랩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청년이 인식한 절망감은 주식투자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이 인식한 사회불안은 주식투자를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청년이 인식한 절망감과 주식투자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은 조절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에게 주식투자는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공정한 수단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사회적 문제나 위험을 크게 감수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올바른 선택지가 아닌 것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청년들의 무분별한 주식투자를 예방하기 위해 양질의 일자리를 공급할 필요가 있으며, 어릴 때부터 재무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lessness and stock investment based on the expected utility theor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unrest based on the rational choice theory, considering that youth stock investment shares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gambling addiction. To this e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 were conducted with 515 youth. The results show that, first, youth’s perceived hopelessness increases stock investment. second, youth’s perceived social unrest decreases stock investment. Third, social unres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s perceived hopelessness and stock inves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vesting in stocks may be seen as a fair way to plan for the future, but it may not be the right option in situations where social problems or high risk are involved.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in order to prevent youth from investing in stocks imprudent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quality jobs and financial education at an early a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