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usal Analysis on Flood and Storm Damage Using Coding of Grounded Theory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Hyewon Jeong Sungsu Lee Jeongah Um Jong Hyeon Baek Seulgi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5, 33~4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재난의 피해전개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코딩기법을 활용하여 재난보고서와 언론보도자료 내 재난 과정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범주화하였다. 태풍 차바(2016), 2018년 집중호우 및 태풍 솔릭, 태풍 링링(2019)을 대상으로 자료 내 재난이 전개되는 과정에 대한 서술을 개방코딩과정을 통해 추출하였다. 구성요소의 범주화는 위험관리(Risk Management)의 위험기술(Risk Statement)에서 활용되는 분석구조를 적용하여 속성에 따라 Hazard-Event-Impact으로 구조화하고, 연결 구조에 따라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홍수재난과 강풍재난은 자연현상 및 인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연결된 인과적 연쇄 속에서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재난의 전개과정을 분석함으로서 피해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인적요인 혹은 재난관리를 통해 피해를 방지 혹은 저감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coding of grounded theory was used to identify and categorize the components of the disaster progresses in disaster and media reports in order to analyze the evolution of disaster damage. The narratives of the disaster progresses in the data were extracted through open coding for typhoon Chaba (2016), the heavy rains and typhoon Solik (2018), and typhoon Lingling (2019). The components were categorized into a hazard-event-impact (H-E-I) structure based on their attributes, using the analytical framework from the risk statement approach, and were grouped into seven types based on their connection patterns.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flood and storm disasters occur as part of a causal chain involving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natural process and human factors. Therefore, analyzing the disaster progression can identify factors affecting damage occurrence and enable the derivation of measures to prevent or mitigate impacts through human intervention or disaster management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방법
Ⅳ. 재난 유형별 인과분석 결과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