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oblem of Shinto Shrine Worship and Politics of Memory Since the Liberation: Focused on Jaegun Presbyterian Denomination (Reconstruction Church, 재건교회) and Doknohoe Presbyterian Denomination (One Presbytery, 독노회)
- 발행기관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 저자명
- 이진구(Jin Gu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단행본』종교문화비평 48, 305~345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해방 이후 신사참배에 관한 기억이 개신교 공간에서 어떻게 재구성되어 왔는가를 기억의 정치의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주된 분석 대상은 재건교회와 독노회의 성립 및 전개과정에 나타난 세 사안이다. 첫째는 의례논쟁이다. 재건교회와 독노회는 모두 신사참배를 우상숭배로 간주하여 거부하였지만 동방요배(궁성요배, 황거요배), 정오묵도, 국기배례, 황국신민의 서사 제창에 대해서는서로 다른 입장을 취했다. 재건교회는 4가지 의식이 모두 우상숭배 내지 종교적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보고 거부한 반면, 독노회는 4가지 의식에 가미된 것으로보이는 우상숭배적 요소 혹은 종교적 측면은 배제하고 수용하였다. 해방 후 두교단이 국기배례, 국기에 대한 맹세, 단군상 문제 등에 직면했을 때 의례논쟁은중요한 기억으로 소환되었다.
둘째는 재건교회의 최덕지 국가유공자 추서운동과 독노회의 주기철 목사직 복권 운동이다. 재건교회는 신사참배 거부운동이 독립운동이었으며 최덕지는 독립운동가였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담론에서는 최덕지의 신사참배 거부운동에 내재한 종교적 동기는 배제되고 신사참배 거부운동의 정치적 효과만 부각된다. 신사참배에 관한 기억의 소환과정에 선택과 배제의 원리가 작동한 것이다. 독노회의 주기철 목사직 복권 운동에도 선택과 배제의 원리가 포착된다. 독노회는 ‘증언’ 의 형식으로 주기철을 독노회의 회원으로 호명하였다. 그러나 기존 학계에 의하면주기철은 새로운 노회의 건설에 반대한 인물이다. 따라서 독노회의 주기철 목사직복권 작업은 새로운 서사의 창출을 통한 기존 서사의 대체를 포함한다.
셋째는 독노회의 신사참배 회개의 정치다. 독노회에 의하면 남북분단은 한국교회의 신사참배에 대한 신의 심판이고 교회분열은 신사참배죄 회개의 부재에 대한신의 응징이다. 따라서 남북분단과 교회분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신사참배에 대한 철저한 회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독노회는 한국교회 전체의 동참을 촉구하면서 회개선언을 하였다. 주류교회의 무반응으로 인해 독노회만의 행사로 끝나고 말았지만 이러한 ‘회개의 정치’에는 한국교회의 적통이라는독노회의 정체성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었다. 그러나 회개선언 이후 독노회는 ‘1 교단 다체제’를 표방하면서 거대교단에 가입하였다. 독노회는 이를 교회일치운동의 일환이라고 말하지만 이면에는 거대교단의 틈바구니에서 살아남기 위한 군소교단의 생존전략이 엿보인다.
의례논쟁, 독립운동가 추서운동과 목사직 복권 운동, 그리고 회개운동을 관통하는 것은 신사참배에 관한 기억이다. 해방과 더불어 ‘신사참배’는 종료되었지만‘신사참배에 대한 기억’은 각 주체에 의해 끊임 없이 재구성되면서 강력한 힘을발휘해 왔다. 기억의 재구성 과정에는 선택과 배제, 이해관계와 욕망, 이데올로기가 개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기억의 정치에 다시 한번 주목해야 할 이유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how Shinto shrine worship have been remembered in Korean Protestantism since 1945, paying attention to the politics of memory. The main targets of analysis are three issues that appeared in the history of Jaegun Presbyterian Denomination and Doknohoehe Presbyterian Denomination. The first is the “ritual controversy”, that is, debates on national ceremonies imposed on the people in colonial Korea. Both Jaegun Presbyterian Denomination and Doknohoe Presbyterian Denomination regarded Shinto shrine worship as idolatry. However, they took different positions on the meaning of Homage to the East, bowing toward the Emperor's palace(동방요배, 황거요배, 궁성요배), the silent prayer for the dead soldiers, the Japanese national flag worship, and Kōkoku Shinmin Oath(황국신민서사). Jaegun Presbyterian Denomination opposed to observing all four national rituals, regarding them as idolatry or religious practices. On the other hand, the Doknohoe observed them, deleting the idolatrous elements or religious aspects that seems to have been added to the four national rituals. When the two denominations faced issues such as Korean national flag worship, oath to the Korean national flag, and the construction of Dangun Statue in public space after the liberation, the “ritual controversy” was recalled as an important memory.
The second is Jaegun Presbyterian Denomination’s project of making Choi Deok-ji(최덕지) as Independence activist, and Doknohoe Presbyterian Denomination’s project of restoring Joo Ki-cheol(주기철)’s pastorship. Jaegun Presbyterian Denomination emphasized that the rejection of Shinto shrine worship was a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at Choi Deok-ji was an independence activist. However, Jaegun Presbyterian Denomination tends to ignore the religious motives inherent in Choi Deok-ji's rejection of Shinto shrine worship, emphasizing the political effects of the rejection of Shinto shrine worship. The principle of choice and exclusion worked in the process of remembering Shinto shrine worship. The principle of choice and exclusion is also captured in Doknohoe Presbyterian Denomination’s project of restoring Ju Ki-cheol's pastorship. Doknohoe Presbyterian Denomination appropriated him by means of ‘testimony’. However, according to the church historians, Ju Ki-cheol was a pastor who opposed the construction of a new presbytery. Therefore, there was a replacement of the existing narrative through the creation of a new narrative
The third is Doknohoe Presbyterian Denomination’s campaign for demanding the repentance for Shinto shrine worship. According to Doknohoe Presbyterian Denomination,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is God's judgment on the Korean church's Shinto shrine worship,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church is God's retribution for not repenting for the crime of Shinto shrine worship. Therefore, repentance for Shinto shrine worship is the only wa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church. In this context, Doknohoe Presbyterian Denomination declared a statement of repentance for Shinto shrine worship, urging the entire Korean church to participate. Although it ended up as an event of Doknohoe Presbyterian Denomination due to the mainstream church's non-responsiveness, this ‘politics of repentance’ suggested that Doknohoe Presbyterian Denomination is a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church. However, after the declaration of repentance, the Doknohoe Presbyterian Denomination joined the giant denominations by advocating a ‘one denomination multi-system’. Doknohoe Presbyterian Denomination says this is part of ecumenical movement, but behind it, the survival strategy of the minor denominations to survive in the cracks of the giant denomination can be seen.
The “ritual controversy”, the project of making Choi Deok-ji as independence activist, the project of restoring Ju Ki-cheol's pastorship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해방 이후 신사참배거부 교단의 탄생
Ⅲ. 의례논쟁
Ⅳ. 추서의 정치와 복권의 정치
Ⅴ. 회개의 정치와 교단 정체성
Ⅵ.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그리스도교大事典
- 기독교한국
-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종교교육부
- 그리심
- 한국개혁신학
- 여울목
- 여울목
- 한울아카데미
- 생명의말씀사
- 동북아역사 논총
-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 한국교회사학회지
- 본문과현장사이
- 혜선출판사
- 한국개혁신학
- 생명의 말씀사
- 예영커뮤니케이션
- 한국기독교역사박물관
- 부산경남지방 기독교 연구
-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 종교문화비평
- 세속주의를 묻는다: 종교학적 읽기
- 재건총회출판부
- 교회사연구
- 사회와역사
- 최덕지ㆍ최종규 목사 기념사업회
- 인카네이션
- 모시는사람들
- 도서출판 바오
- 진서천
- 성광문화사
- 한국기독교와 역사
- 역락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