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arly Number Concepts of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도주원(Joowon Do)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7권 제3호, 595~61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 형성되어 있는 초기 수 개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교수⋅학습 방안 마련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의 보존성, 묶음 인식, 양의 비교의 초기 수 개념을 검사하고 정답률과 사용 전략을 학년별로 수학 학업 성취 수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고, 구체적인 오류 사례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 학업 성취 수준이 낮은 저학년 학생들은 초기 수 개념의 부족으로 인해 학년이 올라가도 수 감각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수에 대한 접근 방식을 개선하고 초기 수 개념 형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사물의 배열과 그룹화를 활용한 묶어 세기 경험, 수의 본질에 집중한 많고 적음의 비교, 일대일 대응 전략을 통한 구체적 조작 활동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깊이 있는 수 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초기 수 개념 지도 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교과용 도서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early number concepts developed among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achieve this, we assessed the early number concepts of conservation, group recognition, and quantity comparison in first and second graders, compared and analyzed correct answer rates and strategies based on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 by grade, and identified specific error patterns. The results indicate that lower-grade students with low mathematics achievement may fail to sufficiently develop number sense as they progress through grades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early number concep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approaches to number and support the formation of early number concepts. Providing opportunities to count groups using various arrangements and configurations of objects, conducting comparisons focused on the essence of quantity (more and less), and implementing hands-on activities utilizing one-to-one correspondence strategies can help students develop a deeper understanding of number concep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early number concepts instruction and offer implications for textbook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