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awareness, loyalty, and trust when choosing apartment complexes
- 발행기관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 저자명
- 김동성(Dong-s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7권 제2호, 220~235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브랜드의 이미지와 인지도가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들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첫째,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 인지도, 충성도, 신뢰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는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신뢰는 다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는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신뢰는 매개효과를 보였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는 충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신뢰를 매개로 하여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아파트의 구매 결정에서 인지적 평가인 이미지와 인지도보다 신뢰가 더 핵심적 요소라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아파트 브랜드 노출을 늘려 고급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보다 소비자와의 신뢰관계를 구축·강화하는 전략이 충성도를 높이는데 더 효과적이라는 결혼을 얻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how apartment brand image and awareness affect loyal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their relationship.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partment brand image, awareness, loyalty, and trust. Second, apartment brand image and awar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 and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loyalty. However, apartment brand image and awareness did not affect loyalty. Third, trust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apartment brand image and awareness on loyalty. The results so far show that apartment brand image and awareness do not directly affect loyalty, but affect loyalty by mediating trust. In other words, trust, which is an emotional bond, is a more important factor in apartment purchase than image and awareness, which are cognitive evaluations. A strategy to build trust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i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loyalty than increasing exposure to apartment brands to form a high-quality imag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