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Problem-Solv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 저자명
- 류현숙(Hyun-Sook Ryu) 권선희(Sun Hee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7권 제2호, 19~3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문제해결능력은 기존의 지식, 경험, 정보를 활용해 실제상황에서 발생가능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해 내는 역량으로 실무 현장 적응력에 중요한 요인이다. 대학생들이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완수하고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로 성장하기 위해서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 종합대학에 재학하는 대학생 92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문제해결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t-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은 평균 3.74점,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평균 3.33점,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평균 3.69점이었다. 둘째, 문제해결능력은 학년과 전공 계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문제해결능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대학은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성공적인 역량 개발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problem-solv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involved 92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hird and fourth years at a university.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were examin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actors influencing problem-solving ability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verage problem-solving ability of the subjects was 3.74, their academic self-efficacy was 3.33, and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3.69. Analysis of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grade (t=2.047, p= .044) and major (t=2.681, p= .009). Furthermore, problem-solving ability exhibi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r= .612, p< .001)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 .864, p< .001). Additionally,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r= .735, p< .001). When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β= .915, p< .001)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accounting for 73.3% of the variance (F=49.016, p< .001). Through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significantly influences their problem-solving ability. Universities should implement a variety of strategies to enhanc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enabling them to thrive in their college experi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