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hanging Meaning of Otium(閒) in the Writings of Early 17th-Century Scholar-Officials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저자명
- 김영연(Young-yeon Kim)
- 간행물 정보
- 『동방한문학』제104호, 117~162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17세기 초 관료 문인들의 산문에서 ‘한가함[閒]’을 이전 시기와는 다른 의미로 규정하는 변화가 나타났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고려 중기에서 조선 초까지, 관료 문인들의 산문이나 조선왕조실록 등의 문헌에서 쓰인 ‘한가함’이 ‘게으름’이나 ‘무료함’이라는 부정적 의미와 통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던 것에 반해, 17세기 관료 문인들의 산문에서는 ‘우아함’의 향유라는 긍정적 의미로 쓰이는 변화가 일어났다. 2장에서는 ‘한가함’이 부정적인 의미로 통용되었던 17세기 이전 사례를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파한집』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가함’이 관료 문인의 비자발적 은퇴나 공적 의무의 방기 또는 무료함과 연결되어 부정적으로 쓰이는 사례들을 탐색하였다. 3장에서는 17세기 관료 문인들의 산문에서 ‘한가함’이 선호 대상으로 바뀌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를 검토하였다. 박지겸의 정자 애한정(愛閑亭)에 부친 이호민, 이정귀, 권득기의 글에서는 공적 의무로부터 유리된 상태가 나태함이나 무책임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지 않는다. 오히려 세속의 이해관계로부터 초탈한 고양된 정신을 가리키는 쪽으로 일변하였음이 확인된다. 4장에서는 ‘한가함’이 구체적인 사물 표상 및 행동 방식과 연관되어 ‘우아함’이라는 긍정적 의미로 확장되는 국면을 검토하였다. 여기서는 ‘학명(學明)’에 열의를 지녔던 허균과 신흠이 개척한 스펙트럼이 어떠했던가를 탐색하였다. 아울러 이 장에서는, 한가함의 의미 변화를 추동한 배경으로 고려 중기에서 조선 초와는 판이하게 달라진 17세기 초의 유동적인 정국 상황 및 성리학적 정치 문화의 전개에 따른 은거 관념의 변화가 작용하였을 가능성을 타진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17세기 초 관료 문인 산문에서는 이전 시기와 달리 한가함의 의미가 부정적인 것에서 긍정적으로 변했음을 주장하고, 이 의미 변화가 18세기 이후 경화 세족의 물질 문화 향유에 대한 이론적 단초가 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rgues that the prose writings of early 17th-century scholar-officials reveal a shift in the meaning of otium (閒), redefining it in ways distinct from earlier periods. From the mid-Koryŏ to the early Chosŏn era, the term was often associated with negative notions such as “idleness” or “laziness” in scholar-officials’ prose writings and in sources like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Chosŏn Dynasty. By contrast, in the works of early 17th-century scholar-officials, otium came to signify a cultivated “ease” and the enjoyment of “elegance,” marking a positive turn in meaning.
Section 2 surveys earlier instances where otium bore negative connotations, focusing on P’ahan chip (Poems and Stories for Overcoming Idleness). In these texts, otium is tied to involuntary retirement, neglect of public duties, or sloth, presenting an unfavorable image. Section 3 examines the first case of revaluation, where otium is reframed as a desired state. In writings by Yi Ho-min, Yi Chŏng-gwi, and Kwŏn Tŭk-ki, composed for Pak Chi-gyŏm’s pavilion Aehanjŏng (Pavilion for the Love of Leisure), being freed from official obligations is no longer portrayed as idleness or irresponsibility. Instead, it is cast as an elevated detachment from worldly entanglements.
Section 4 turns to a second case, showing how otium extends into the realm of “elegance” when linked to specific objects and modes of conduct. This section explores the spectrum pioneered by non-Sŏin literati such as Hŏ Kyun and Sin Hŭm, who pursued “learning and enlightenment” (學明) with zeal. It also considers how the volatile political landscape of the early 17th century—markedly different from the mid-Koryŏ and early Chosŏn—and the evolving Neo-Confucian ideals of withdrawal may have driven this semantic shift.
Overall,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in the prose writings of early 17th-century scholar-officials, otium moved from negative to positive meanings, and it suggests that this transformation may have lai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material-cultural pursuits of the kyŏnghwa elite from the 18th century onward.
목차
1. 서론
2. ‘한가함[閒]’ 관념의 전사(前史)
3. 애호의 대상이 된 한가함
4. ‘한가함’ 개념의 확장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