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thinking the Meaning of “Yue Xian(悅賢)” in Mencius : Based on changes in the concept of ruler-subject relationship in ancient China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저자명
- 홍유빈(You-bin Hong)
- 간행물 정보
- 『동방한문학』제104호, 7~4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고는 고대 유가의 문헌인 『맹자(孟子)』에 나오는 ‘열현(悅賢)’의 개념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작성된 논문이다. 선진 시대의 문헌을 보다 보면, ‘현자(賢者)’라는 존재를 중시하는 입장에서 ‘존현(尊賢)’이나 ‘상현(尙賢)’과 같은 단어가 눈에 띈다. 그런데 『맹자』를 읽다 보면, 이러한 ‘존현’이나 ‘상현’외에 ‘열현(悅賢)’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어서 주목된다. 주지하다시피 ‘열(悅)’이라는 글자는 ‘기쁘다’ 혹은 ‘기뻐하다’는 의미로서 ‘희열(喜悅)’이라는 단어에 보이는 바와 같이, 마음속에서 우러나오는 기쁨을 뜻한다. 따라서 ‘열현(悅賢)’을 직역한다면 ‘현자를 마음속 깊이 기뻐함’이 되며, 의미상 현자를 마음속 깊이 좋아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같은 유가(儒家)라 할지라도 『맹자』를 보면 끊임없이 현자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보이지만, 『순자』에서는 상대적으로 군신(君臣) 사이의 상하 관계를 분명히 하는 가운데 (임금에 대한) 신하의 충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차이가 확인된다. 이러한 면에서 ‘현자(賢者)’라는 존재를 존숭하고 거기에서 더 나아가 흠모의 감정을 가지는 ‘열현’ 개념을 제시한 맹자에게는 초기 유가의 유풍이 남아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대 유가의 군신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맹자의 군신관이 그 속에서 어떠한 지점에 있는지 파악해 보았다. 이어서 『맹자』에 나오는 ‘열현(悅賢)’의 개념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근래에 발굴된 출토문헌 자료를 통해 ‘호현여호색(好賢如好色)의 차원에서의 열현(悅賢)’에 대해 탐구해 보는 순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탐구 과정을 통해 초기 유가 사상에서 두루 보이는 ‘열현’의 개념이 남녀 교감의 차원인 ‘연모(戀慕)’의 측면에서도 해석될 여지가 있으며, 『맹자』에 나오는 ‘열현(悅賢)’ 역시 그러한 흐름 속에서 독해될 수 있음을 밝히면서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yue-xian (悅賢)’ and its meaning as it appears in the ancient Confucian text Mencius. When reading the literature of the early modern period, one notices words such as ‘zun-xian (尊賢)’ and ‘shang-xian (尙賢)’, which emphasize the importance of ‘賢者’ (xian-zhe, wise men). However, when reading the Mengzi, it is notable that the term ‘yue-xian (悅賢)’ is used in addition to ‘zun-xian (尊賢)’ and ‘shang-xian (尙賢)’. As is well known, the character “悅” means “to be happy” or “to rejoice,” as seen in the word ‘xi-yue (喜悅)’, and refers to joy that springs from the heart. Therefore, a literal translation of ‘yue-xian (悅賢)’ would be “to rejoice in the wise from the bottom of one’s heart,” and it can be interpreted to mean to deeply love the wise. Even within Confucianism, while Mencius constantly advocates for the exaltation of the wise, Xun-zi (荀子) emphasizes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ruler and subject, placing greater emphasis on the loyalty ‘yue-xian (悅賢)’, which reveres the existence of ‘wise men’ and goes further to admire them, can be seen as retaining the early Confucian traditi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changing asp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uler and minister in ancient Confucianism and identified where Mencius’s view on this relationship stands. Following this, the discussion proceeded by examining the concept and meaning of ‘yue-xian (悅賢)’ as it appears in the Mencius, and then exploring ‘yue-xian (悅賢)’ in the dimension of haoxian-ru-hose (好賢如好色)’ which means ‘loving wise man as much as one loves physical beauty’ through recently excavated unearthed documents. The paper concluded by arguing that the concept of ‘yue-xian (悅賢)’, which is commonly seen in early Confucian thought, can also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lian-mo (戀慕)’, a dimension of emotional connection between men and women, and that ‘yue-xian (悅賢)’ in the Mencius can be understood within this context.
목차
1. 머리말
2. 고대 중국의 군신관의 변화
3. 『맹자』에 보이는 맹자의 군신관
4. 『맹자』에 나오는 ‘열현(悅賢)’의 개념과 그 의미
5. 출토문헌으로 살펴본 ‘열현(悅賢)’ 개념의 원류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맹자(孟子)
열현(悅賢)
오행(五行)
당우지도(唐虞之道)
곽점초간(郭店楚簡)
마왕퇴백서(馬王堆帛書)
『시경(詩經)』
「초충(草蟲)」
군신관계론(君臣關係論)
Mencius(孟子)
Loving the sage(悅賢)
wu-xing(五行)
Tangyuzhidao(唐虞之道)
The Guodian Bamboo Manuscrips(郭店楚簡)
The Mawangdui Silk Manuscripts(馬王堆帛書)
『The Book of Odes(詩經)』
「grass insect(草蟲)」
Ruler-Subject Relationship Theory(君臣關係論)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