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Donation Expenditure of Listed Companies on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Corporate Imag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rporate Transparency
- 발행기관
- 한국산업기술융합학회(구.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 저자명
- 주혜(HUI ZHU)
- 간행물 정보
- 『산업기술연구논문지』제30권 3호, 241~25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산업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부금 지출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기업 이미지의 매개효과와 기업 투명성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사회적 책임(CSR) 연구가 기부 활동을 단순한 비용 혹은 마케팅 수단으로 한정하는 한계를 극복하고, 기부금 지출이 기업의 장기적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있는 구체적 경로를 밝히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첫째, 기부금 지출은 기업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이 재무적 성과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부금 지출은 기업 이미지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기업 이미지는 다시 기업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기부 활동이 단순한 금전적 지출을 넘어 기업 이미지 관리와 결합할 때 성과 창출 효과가 강화됨을 의미한다. 셋째, 기업 투명성은 기부금 지출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즉, 투명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기부금 지출의 효과가 증대되어, 사회공헌 활동의 진정성과 신뢰성이 기업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 기부 활동이 사회적 책임을 넘어 지속 가능한 성장과 가치 창출의 핵심 전략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corporate donations on firm performance among Chinese listed companie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mediating role of corporate image and the moderating role of corporate transparency. The findings yield three key insights. First, corporate donations significantly improve firm performance, confirming tha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s enhance financial outcomes. Second, donations positively affect corporate image, which in turn strengthens firm performance, demonstrating a mediating effect. This suggests that donations are most effective when paired with image management strategies rather than viewed merely as monetary outlays. Third, corporate transparency serves as a critical moderator: the positive effect of donations is stronger in firms with higher transparenc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uthenticity and credibility in maximizing the benefits of social contributions. Overall,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orporate donation activities function not only as a means of fulfilling social responsibility but also as a strategic tool for sustainable growth and value cre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V.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