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ord Reading and Writing in Preschool Children at Risk for Literacy or Speech-Language-Literacy Difficulties: Considering Meaning Accessibility and Within-Syllable Positi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가현(Kahyun Lee) 김소담(Sodam Kim) 배소영(Soyeong Pa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3, 494~506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읽기와 쓰기는 학습의 필수적인 능력으로 유치원 시기부터 습득되기 시작한다. 말과 언어의 어려움을 동반한 아동은 읽기와 쓰기에서 더 큰 어려움을 경험한다. 본 연구는 문해에서만 어려움이 있는 아동과 말, 언어, 문해의 어려움을 모두 동반한 아동의 낱말 읽기 및 쓰기 수행력을 의미유무와 음절 내 위치를 고려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5세 일반, 문해고위험군, 복합문해 고위험군 각 20명을 대상으로 자소-음소 일치형 의미 및 무의미 낱말 읽기와 쓰기 과제를 실시하고 자소 단위로 채점하였다. 집단, 의미유무, 음절 내 위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자 삼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두 고위험군은 일반보다 무의미 낱말 읽기 수행력이유의하게 낮았고, 의미 낱말 읽기에서는 복합문해 고위험군의 수행력이 가장 낮았다. 낱말 쓰기에서도 두 고위험군이 의미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음절 내 위치에서 일반보다 매우 낮았고, 일반도 종성자소에서 의미유무에 따른 쓰기 수행력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논의 및결론: 집단별로 낱말의 의미유무와 음절 내 위치에 따라 낱말 읽기 및 쓰기 수행력이 다르지만 취학전부터 일반과 고위험군의 수행력격차는 매우 큰 실정이다. 특히 복합문해 고위험군은 언어의 약점이 의미 낱말 읽기의 어려움으로 이어져 말과 언어 문제의 동반여부에 따라서도 수행력이 다르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취학전부터 고위험군의 낱말 읽기 및 쓰기 수행력을 의미유무와 음절 내 위치를 고려하여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Reading and writing are essential academic skills that begin to develop in preschool.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difficulties experience greater challenges in reading and writing.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word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among children with literacy difficulties only and those with speech-language-literacy difficulties, by considering meaning accessibility and within-syllable posit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five-year-old children, divided into three groups: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TD), children at risk for literacy difficulties (LD), and children at risk for speech-language-literacy difficulties (SLLD), with 20 children in each group. Each child was asked to read and write seven words and seven nonwords with consistent phoneme grapheme correspondences. Responses were scored in grapheme units, and a three-way mixed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group, meaning accessibility, and within syllable position on word reading and writing. Results: The LD and SLL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than the TD group in nonword reading, with the SLLD per forming the lowest on word reading. In word writing, both at-risk groups showed consistently low accuracy across all syllable positions, regardless of meaning accessibility. The TD group also showed lower accuracy in writing the final grapheme, with a performance gap depending on meaning accessibility. Conclusion: Word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varied by group, meaning accessibility, and within-syllable position. At-risk children already showed substantial gaps before school entry. Particularly, language weaknesses of the SLLD group hindered word reading, showing how speech and language difficulties impact early literac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ssessing at-risk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in preschool, considering both meaning accessibility and within-syllable positio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