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stimation of SCS Curve Number Using MOLUSCE Model-Based Land Cover Change Predic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안전학회
- 저자명
- 류지열(Ji-Yeol Ryu) 이영우(Young-Woo Lee) 전계원(Kye-Won Jun)
- 간행물 정보
-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18권 3호, 11~1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상기후와 도시화에 따른 홍수·가뭄 위험을 예측하기 위하여 QGIS의 MOLUSCE 모형을 활용하였다. MOLUSCE 모형을 이용해 연구 대상인 원주천 유역의 과거 및 미래 토지피복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SCS-CN 값을 산정하였다. 원주천 유역 소유역을 대상으로 2013년과 2024년 토지피복도를 바탕으로 2030년대, 2040년대, 2050년대 변화를 예측한 결과, 시가화 건조지역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농경지와 산림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SCS-CN 값도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동일 강우 조건에서 유출량과 첨두유량 증가가 예상된다. 본 연구는 도시화와 자연재해 간의 연계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하며, 향후 홍수·가뭄 대비 조기 경보 및 방재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tilizes the QGIS MOLUSCE model to predict flood and drought risks associated with extreme climate events and urbanization. The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historical and projected land cover changes in the Wonjucheon watershed. Using land cover maps from 2013 and 2024, future scenarios for the 2030s, 2040s, and 2050s were simulated, revealing a continuous increase in urbanized dry areas and a decrease in agricultural and forested land. Based on these projections, the Soil Conservation Service Curve Number (SCSCN), a critical hydrological parameter, was estimated to gradually increase, indicating higher runoff and peak discharge under equivalent rainfall conditions. These results quantitatively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ization and natural disaster risks and provide essential data for developing early warning systems and disaster mitigation strategies. The approach offers a valuable framework for enhancing flood and drought management in rapidly urbanizing regions facing climate variability.
목차
1. 서 론
2. 연구대상 유역 및 연구방법
3. 모형의 적용 및 결과
4. 결 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