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Yìshēngzì(Phonosemantic Characters) in the Shuowen Jiezi (1) : Structural Reasoning Beyond the Boundary of Xíngshēng and Huìyì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김태완(Tai-Wan Kim)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2輯, 117~14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說文解字』에서 언급된 亦聲字는 성부가 음뿐 아니라 의미 형성에도 관여하는 문자로, 형성과 회의의 경계를 넘는 복합적 조자 구조를 지닌다. 본 연구는 역성자 ‘句’ 를 성부로 삼은 ‘拘, 笱, 鉤, 雊’를 대상으로, 의미망, 자형 연변, 음운 구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說文解字』, 『爾雅』, 『釋名』 등 자전을 바탕으로 ‘句’가 각 파생자에서 意味的 중심축으로 기능함을 밝혔으며, 갑골문 등 字形變化를 통해 상형자에서역성자의 역할을 추적하였다. 또한 上古音 비교를 통해 聲母 /k/ 및 韻母의 군집성을확인함으로써, 音과 意味의 동시 작용이라는 亦聲字의 구조적 특성을 입증하였다.
영문 초록
The Shuowen Jiezi introduces the concept of yìshēngzì (亦聲字), a category of Chinese characters whose phonetic components simultaneously participate in semantic construction, thus transcending the traditional dichotomy of xíngshēngzì (形聲字) and huìyìzì (會意字). This study examines four characters—拘, 笱, 鉤, and 雊—that share 句 as a phonetic-semantic component, analyzing their semantic networks, graphical evolution, and Old Chinese phonological structures. By referencing major classical sources such as Shuowen Jiezi, Erya, and Shiming,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句 functions not only as a phonetic indicator but also as a central semantic root across these derivatives. The analysis of graphic transformations reveals a transition from pictographic to semantic-phonetic structures, while comparative reconstructions of Old Chinese confirm stable phonetic clustering based on /k/ initials and 侯-rhymes.
Ultimately, this paper argues that yìshēngzì reflect a unique epistemology in ancient Chinese script, in which sound and meaning originate from a shared conceptual root.
목차
1. 亦聲字 개념의 재조명과 연구의 필요성
2. 亦聲字의 개념과 빈도 분석
3. 亦聲字 ‘句’의 의미망 구축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