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in a Flipped Learn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서연(Seo Yeun L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5호, 531~56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S대학 유아교육과 전공교과목 중 하나인 「유아교육과정」 교과목에 플립러닝을 적용하고, 이를 수강한 예비유아교사 36명의 경험과 그로 인한 학습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수업 종료 후 작성된 수업 소감문 및 유아교육과정 교과목을 담당한 강사의 저널을 질적 분석한 결과, 4개의 상위범주와 이에 따른 8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효율성이 좋은 강의’로서 시공간의 제약 없이 학습할 수 있고 이론과 실제를 함께 다룰 수 있는 효율성을 경험하였다. 둘째, ‘나만 잘하면 되는 강의’를 통해 학습 주도성과 자기주도적 학습 방식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였다. 셋째, ‘소통에 대한 양면성을 지닌 강의’로서 온라인 사전학습과 오프라인 수업을 모두 경험하며, 상호작용의 필요성과 교수자의 직접 설명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나를 찾아준 강의’에서는 협력적 학습을 통해 개인 학습의 한계를 넘어 교사로서 성장할 방향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서 전공교과목에 플립러닝 방식의 적용 가능성 및 교육적 의의를 검증할 수 있었으며, 시대 문화 및 학생들의 요구에 따른 다채로운 방식의 전공교과목 운영을 위해 전공교수의 교수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d flipped learning to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course, one of the major subjec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S University, and explored the experiences of 3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long with the educational meanings derived from them.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course reflection papers writt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lass and the instructor’s journal, which resulted in four overarching categories and eight subcategories. First, in the category of an efficient lecture,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benefit of learning without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s, as well as the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Second, through a lecture where only the student’s individual effort matters, they reconfirmed the importance of learner initia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Third, in a lecture with ambivalence toward communication, students experienced both online pre-learning and offline classroom activities, revealing the necessity of interaction and the demand for direct explanations from the instructor. Finally, a lecture that helped students find one’s self highlighted how collaborative learning enabled students to overcome the limits of individual study and seek directions for professional growth as teacher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flipped learning in major courses, suggesting the need to provide sufficient opportunities to enhance faculty teaching competencies for more diverse and responsive course delivery in accordance with cultural trends and student need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