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eachers’ Difficulties in Curriculum Planning and Operation in Multicultural Student-Concentrated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설규주(Kyujoo Seol) 조규희(Kyuhee Jo)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5호, 237~25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학생 밀집학교 교사들이 겪는 교육과정 계획 및 운영의 어려움 유형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교사 지원의 기본적인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다문화학생 밀집 초·중학교 교사 8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대해 K-평균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학생 밀집학교 교사들은 어려움의 수준과 양상에 따라 ‘총체적 고충형’, ‘과업 중심 고충형’, ‘보통 어려움형’, ‘안정적 역량형’의 4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교사의 경력과 같은 개인적 특성보다는 근무 지역, 학교 내 다문화학생 비율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군집 유형을 결정하는 핵심 변수임이 밝혀졌다. 이는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이 개인의 역량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모든 교사에게 유사한 연수나 자료를 제공하는 획일적 지원 방식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각 군집의 특성과 교사가 처한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차별화되고 실질적인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classify teachers into distinct types based on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 in curriculum planning and operation within schools characterized by high concentrations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South Korea. Utilizing data from a survey of 82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this research employs K-means cluster analysis to classify teachers based on their perceived challenges. The analysis revealed four distinct clusters: the ‘Comprehensive High-Difficulty Type,’ ‘Task-focused High-Difficulty Type,’ ‘Moderate Difficulty Type,’ and ‘Stable Competency Type.’ A key finding is that environmental and contextual factors, such as the school’s geographical location and the specific ratio of multicultural students, are mo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luster membership than individual teacher characteristics like teaching experience. This suggests that the difficulties are largely structural rather than personal. The findings highlight the heterogeneity within this teacher population, underscoring the possible limitations of one-size-fits-all support systems. This study argues for a paradigm shift towards differentiated, tailored support policies that address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contextual challenges of each teacher cluster, thereby enhancing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se increasingly common school environm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