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Principles of Integration in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ith an Analysis of the Usefulness and Applicability of the Multidisciplinary Integration Principle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호(Hyunho L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5호, 159~18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통합사회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과목으로, 그동안 분절적으로 운영되어 온 역사, 지리, 일반사회, 윤리 등의 교과 영역을 융합적으로 아우른다. 그러나 통합사회 교육과정을 구성하기에 앞서 ‘통합’ 개념에 대한 충분한 학문적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로 인해 통합사회의 취지가 학교 현장에 온전히 전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현행 통합사회의 통합 원리인 ‘간학문적 통합’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그 대안으로서 ‘다학문적 통합’ 원리의 유용성을 분석하였다. 이어서 실제적 교육과정 구성안을 예시함으로써 그 적용 가능성 또한 검토하였다. 본고의 분석에 따르면, 통합사회 교육과정에 다학문적 통합 원리를 적용할 경우 교과 간 공통의 학습 요소를 인위적으로 도출해야 하는 부담이 줄고, 1단원 ‘통합적 관점’의 취지가 효과적으로 구현되며, 수능 과목으로서 심화된 내용을 다룰 수 있는 여지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사회현상을 다양한 학문적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바라보는 역량 및 태도 함양이라는 기존의 과목 목표 또한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Integrated Social Studies” was introduced as a new subjec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tegrating the previously segmented subject areas of history, geography, general social studies, and ethics. However, prior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re was insufficient academic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integration,” which has resulted in the intended purpose of integration not being fully conveyed in school settings. This study, based on such critical awareness, examine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principle of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in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analyzes the potential usefulness of the alternative principle of “multidisciplinary integration.” Further, through a sample curriculum design, it explores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is approach.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this paper, applying the principle of multidisciplinary integration to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can reduce the pressure to artificially extract common learning elements across subjects, effectively implement the intention of the first unit, 'integrated perspective,' and can expand the potential to address more in-depth content for the Korean college entrance exam (Suneung).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existing goal of the subject, which is to explore social phenomena comprehensively from various academic perspectives, can be sufficiently maintained.
목차
Ⅰ. 서 론
Ⅱ. 통합사회 교육과정 통합 원리와 그 이상
Ⅲ. 통합사회 교육과정 통합 원리의 현실
Ⅳ. 통합사회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