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adership in Remote Work Environments: A Review of Research
- 발행기관
- 대한리더십학회
- 저자명
- 안종호(Jongho Ahn) 백연정(Yonjeong Paik)
- 간행물 정보
- 『리더십연구』제16권 제3호, 123~15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국문 초록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전 세계적으로 원격근무를 실시하는 조직이 크게 증가하였 다. 리더와 구성원들이 물리적으로 떨어져 근무하는 원격근무 환경에서는 의사소통 채널이 제한되고 대면근무 때와 같은 방식의 신뢰 구축이 힘들어진다. 따라서 조직과 리더는 원격근무 라는 새로운 근무 환경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이해하고 이에 적합한 역량을 개발하여야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원격근무 환경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어, 관련 이론적·실증적 논의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원격근무 환경과 리더십이라 는 주제를 다룬 해외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국내 연구 현황도 함께 제시함으로써 원격근무 환경에 적합한 리더십을 이해하고 관련 국내 연구에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발표된 19개 주요 해외 학술지의 실증연구 41편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대면근무 환경에서 효과적이었던 변혁적 리더십은 원격근무 환경에서는 일관된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특히, 커뮤니케이션의 전자의존성이 높아질수록 그 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반면에 임파워링 리더십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는 원격근무 환경 에서도 긍정적 효과를 유지하였다. 국내 연구(6편)에서도 해외 연구와 대체로 일관된 결과가 도출되었으나, 관련 연구의 양적 부족과 방법론적 한계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선행 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내 리더십 연구자들에게 향후 연구 방향으로 (1) 실무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 변수들에 대한 연구, (2) 원격근무 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 매체 효과 분석, (3) 연구방법론의 개선을 제안한다. 또한, 조직과 팀, 리더 수준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논한다.
영문 초록
As the COVID-19 pandemic unfolded, the number of organizations implementing remote work increased significantly worldwide. In remote work environments, leaders and team members are physically separated, which limits communication channels and makes it more difficult to build trust in the same way as in face-to-face settings. As a result, understanding the new challenges leaders face in remote contexts and developing appropriate competencies at both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has become essential.
However, research on leadership in remote work environments in South Korea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with a significant lack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cussions.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remote work leadership, and also present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research to understand leadership suitable for remote work environments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related domestic research.
To this end, 41 empirical studies published since 2000 in 19 major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were review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traditionally effective in face-to-face environments—exhibited inconsistent effects in remote contexts, with its effectiveness diminishing as reliance on electronic communication increased. In contrast, empowering leadership and leader-member exchange (LMX) maintained their positive influence in remote settings. Findings from six domestic studies were generally consistent with international trends, although limitations in both the quantity and methodology of Korean research were identified.
Based on this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domestic leadership researchers: (1) research on various situational variables that can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2) analysis of communication media effects in remote work environments, and (3) methodological improvements. Furthermore, practical implications applicable at the organizational, team, and leader level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분석 대상 선정
Ⅲ. 해외 연구동향
Ⅳ. 국내 연구동향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