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hilosophical Approach to the Primary Cause of School Violence: Focusing on Aristotle's Philosophy
- 발행기관
- 글로벌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오수웅(Sue Woong Ohrr)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교육연구』제17집 3호, 183~226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이글은 학교폭력의 실태와 연구들에 대해 검토한 후 새로운 개념과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첫째 원인에 대한 탐구에 기초한 철학적 접근에 따라 기존의 폭력 개념을 해체ㆍ분석ㆍ종합해서 새로운 개념을 도출할 것을 목적으로 밝혔다. 그 결과 기존의 폭력 개념들이 정의하지 않은 ‘힘’과 힘의 ‘행사’ 개념을 분석해서, 힘을 ‘지성이 일으키는 능력들의 운동’으로 정의하고, 힘의 ‘행사’를 개인 차원과 사회 차원으로 나누어, 전자를 ‘지성의 육체적 전이’로, 후자를 ‘실천적 지혜를 공유해서 지성과 좋음을 완성하려는 행위’로 정의했다. 이 과정에서 지성의 운동이 지니는 성질들, 특히 자생성-합리성-필연성을 자발성으로, 자생성-임의성-우연성을 비자발성으로 구분하고, 폭력을 ‘비자발성을 띠는 지성의 운동에서 비롯하는 힘으로서 타인의 지성이 지향하는 바에 반하여 친애를 수반하지 않는 방식으로 행사되는 힘’, 축약해서 ‘타인의 지성에 반하는 비자발적인 행위’로 정의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홉스와 로크가 지성의 운동으로 생성되는 힘의 행사를 자유로 정의하고 있음을 포착하고 오늘날 자유주의의 자유에 대한 이해에 토대가 되고 있으나, 자발성과 비자발성의 구분, 타인의 지성과의 관계 양상, 친애의 방식에 대한 고려를 간과하게 함으로써, 자유와 폭력에 대한 오해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에 따라 자유에 대한 개념의 명료화와 기존 개념에 기초한 신념들에 대한 비판적 평가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교육적 함의를 제안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rgues for the need for a new conceptualization of the causes of school violence. In doing so, It seeks to deconstruct, analyze, and synthesize the existing concept of violence through a philosophical approach grounded in Aristotle’s inquiry into ‘the primary cause’ (archē). As a result, this article defines power as ‘the movement of capacities generated by intelligence,’ and defines the exercise of power by dividing into two dimensions as ‘the physical transition of intelligence’ in the individual, and as ‘the act of sharing practical wisdom (phronēsis) to perfect intelligence and goodness’ in the social. In this process, the qualities of the intelligence, particularly spontaneity-rationality-necessity are distinguished as voluntary, and spontaneity-arbitrariness-contingency as involuntary, and violence can be redefined as ‘an involuntary act against the intelligence of another.’ Furthermore, the article shows that the exercise of power has been thought as liberty. while this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today’s understanding of liberty in liberalism, it risks leading to misunderstandings. Accordingly, the article calls for a renewed clarification of freedom, and proposes ways to apply it i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목적과 방법: 철학적 접근
Ⅲ. 개념의 해체와 분석
Ⅳ. 폭력의 원인 추출
Ⅴ. 결론: 명료화와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