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the OTT Drama “Bok-ssak-sok-as-su-da” on Jeju Island's News Coverage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김보경(Bo-kyoung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3호, 47~6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통해 제주 관련 보도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분석한 연구로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 시스템에서 전국 단위 일간지 12개 사와 5개 방송사의 드라마 방영 전후 60일간 키워드 ‘제주’를 포함한 기사를 추출하여 텍스트마이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한 것이다. 연구 결과 드라마 방영 후 ‘제주’ 관련 보도량이 56% 증가하였으며, 연관어 분석에서 방영 전 ‘불축제’ 등 전통적 관광 자원 중심이 방영 후 ‘4·3사건’, ‘어멍’ 등 제주의 역사적 의미와 문화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보도로 키워드가 변화함을 확인하였으며,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서 방영 후 69개 키워드는 ‘제주 4·3사건’이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검색어 ‘제주’와 강력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무형 문화 자산으로 확장됨을 확인하였다. 드라마는 제주를 ‘아픈 역사의 현장’, 매력적인 k-콘텐츠 촬영지‘, ’삶의 문제가 공존하는 생활 터전‘이라는 다층적 이미지로 전환한 것으로 판단한다. 본 연구는 향후 지역 발전과 미디어 정책 수립에 이론적·실무적 기반 마련에 기초를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how Jeju-related reports changed through the drama“Bok-ssak-sok-as-su-da.” Text mining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wereperformed on articles containing the keyword “Jeju”. The results showed that thenumber of reports related to “Jeju” increased by 56% after the drama was aired. The analysis of related words confirmed that the keywords changed from “firefestival” and other traditional tourism resources before the drama was aired to“April 3 Incident” and “Eomeong”, which emphasized Jeju’s historical significance and cultural identity. In addition,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confirmed that 69keywords formed a cluster with “Jeju April 3 Incident” after the drama was aired,forming a strong network with the search term “Jeju”. The drama is judged to havetransformed Jeju into a multilayered image of ‘a painful historical site,’ ‘an attractivek-content filming location,’ and ‘a living space where life’s problems coexist. This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s forestablishing future regional development and media polic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