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술교과의 캡스톤디자인 실천 방안

이용수 0

영문명
A Practical Approach to Capstone Design in Arts Ed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조정은(Jeongeun Cho)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22권 제3호, 277~29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에서 예술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운영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과 교과목 개선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예술과 같은 실기 전공의 교과목에서 캡스톤디자인 형태로 수업을 운영하는 것은 실제적인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성뿐만 아니라, 협업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실질적인 학습 기회가 될 수 있다. 연구 내용은 예술교과와 캡스톤디자인의 국제적 동향과 사례를 검토하고, 특히 음악교과에서의 실제 적용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음악분야의 캡스톤디자인에서는 개인 및 팀별 프로젝트로 AI기반의예술교육 활동과 지역연계 공연예술을 기획함으로써, 예술교육에서 다양한 문제해결 방식과 실무 적용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전공 교과의 현장 경험을 통해 예술교육에 대한 진로인식과 전문성을 강화하며, 나아가 지역 문화정책과 예술 기반 사업에 필요한 전문 인력 양성에 기여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capstone design with a focus on students majoring in art and discussed its educational value and potential curriculum improvement. Capstone design is a project-based educational program that synthesizes specialized knowledge from university curricula to propose solutions to problems in the industrial field. Implementing capstone design in practice-oriented majors like art can not only improve students' practical problem-solving skills and creativity but also provide hands-on opportunities that foster collaborative capabilities. Based on international trends and case studies in art and capstone design,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apstone design in music education. This study planned individual and team projects involving AI-based art education activities and community-linked performing arts. The purpose wa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use of diverse problem-solving methods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capstone design in arts education. Furthermore, it aimed to enhance students' career paths and expertise in arts education through hands-on experience in their major, ultimately contributing to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ed to advance regional cultural policies and arts-based projects.

목차

Ⅰ. 서론
Ⅱ. 예술교육과 캡스톤디자인
Ⅲ. 음악교과의 캡스톤디자인 적용 방안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정은(Jeongeun Cho). (2025).예술교과의 캡스톤디자인 실천 방안. 유라시아연구, 22 (3), 277-298

MLA

조정은(Jeongeun Cho). "예술교과의 캡스톤디자인 실천 방안." 유라시아연구, 22.3(2025): 277-29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