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untercurrent in the Age of Short-form : French Mook Journalism and Its Significance
- 발행기관
- 한국출판학회
- 저자명
- 진민정(Min jung Jin)
- 간행물 정보
- 『한국출판학연구』통권 제120호, 63~106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디지털 환경에서 숏폼 콘텐츠의 범람과 생성형 AI의 확산이 저널리즘의 형식과 기자의 정체성에 초래한 변화에 주목하며, 이러한 맥락 속에서 프랑스 무크(mook) 저널리즘의 부상과 그 함의를 고찰한다. 무크는 단행본과 잡지의 경계를 넘나드는 하이브리드 매체로, 프랑스 르포르타주 전통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면서도, 광고 배제, 느린 제작, 시각적 실험 등을 통해 기존 언론과의 차별성을 드러낸다. 본 연구는 프랑스의 주요 무크 사례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무크가 정보 과잉 시대 속 ‘의미 생성자’로서의 기자 정체성을 복원하고, AI 시대 대안 저널리즘으로 기능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rise and implications of French mook journalism in the context of changes in journalistic forms and the identity of journalists brought about by the proliferation of short-form content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the digital environment. Mooks are hybrid media that cross the boundaries between books and magazines. They inherit the tradition of grand reportage and literary storytelling in French journalism while attempting to break away from conventional media through the exclusion of advertising, slow production cycles, and visual experimentation. Based on a qualitative analysis of major French mook cases, this study suggests that mooks restore the journalist’s identity as a “creator of meaning” in an age of information overload and indicate their potential to function as alternative journalism in the AI era.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프랑스 무크 분석
5. 연구 결과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