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e Ung-no's calligraphic writing and abstract drawing : Focusing on the work ‘Composition’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배현진(Hyun-jin Bae)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제47호, 243~26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1960년대 이후 이응노의 문자쓰기를 조형화한 추상 작품을 통해 서예의 필획이 가진 조형성을 확장하고, 전통을 현대화하려는 이응노의 시기별 작품 형성 배경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응노는 글쓰기와 분리될 수 없었던 전통 서화를 어떻게 계승하고 현대적으로 추상화할 수 있는지 고민하였다. 그는 서예적 예술성에 대한 현대적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장르와 매체를 넘나들며 다양한 시도와 노력을 진행하는 과정을 통해 동서양 미술의 융합을 실천할 수 있었다.
이응노의 작품세계는 서예에서부터 시작해 수묵(水墨)과 사의(寫意)라는 문인화적 요소를 거쳐 반추상과 추상의 과정으로 전개되었다. 1950년대 서구 미술이 한국으로 유입된 이후 이응노는 동양 화단의 변화를 고민하며 ‘사실’에 대한 탐구에서 벗어나 ‘추상’에 대한 실험을 지속하였다. 이응노 스스로 ‘추상’이라는 큰 테두리에서 동양의 ‘사의’ 정신과 ‘서예’ 개념을 결합한 것은 그의 작품세계가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의 융합을 향한 여정이었음을 예상할 수 있는 대목이다. 그는 동양의 서예와 서양적 조형 구성 방법을 기반으로 동양의 전통적인 서예 문화에 한국적 미의식을 첨가하여 서구의 추상미술을 새롭게 파악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응노의 도불 이후 자연에서 형상을 추출한 한자와 음과 뜻을 형태로 표현한 한글 등을 해체하고 조합하기를 반복하는 ‘구성(Composition)’ 시리즈 문자 추상 작품을 진행하였다. 이로써 동서양의 미술 전통을 모두 흡수하여 세계적이면서 지역적인 한국만의 고유한 문화적 특성을 표출함으로써 국가와 지역에 관계 없이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특수성을 실천하였다. 그는 동양의 서예 문화와 서양의 조형적 구성 방법을 기반으로 전통적인 동양의 서예가 현대적 추상 미술 언어로 확대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해 세계 미술 속 자신의 작품이 가지는 독창성과 정체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Lee Ung-no's works, which seek to modernise tradition by expanding the formative nature of calligraphy strokes through abstract works that stylise his writing from the 1960s onwards. Lee Ung-no pondered how to inherit traditional calligraphy, which was inseparable from writing, and modernize it through abstraction. Through various attempts and efforts that transcended genres and media in search of the modern significance of calligraphic artistry, he was able to practice the fusion of Eastern and Western art.
Lee Ung-no's artistic world began with calligraphy and progressed through the elements of literati painting, such as ink wash painting and freehand brushwork, to semi-abstraction and abstraction. After Western art was introduced to Korea in the 1950s, Lee Ung-no contemplated the changes in the Eastern art world and continued to experiment with abstraction, moving away from his exploration of “realism.” Lee Ung-no's combination of the Eastern spirit of “freehand brushwork” and the concept of “calligraphy” within the broad framework of “abstraction” suggests that his artistic world was a journey toward the fusion of East and West, tradition and modernity. Based on Eastern calligraphy and Western compositional methods, he added a Korean aesthetic sense to traditional Eastern calligraphy culture and reinterpreted Western abstract art.
In conclusion, Lee Ung-no's “Composition” series of abstract works after his move to France absorbed both Eastern and Western art traditions, expressing Korea's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s that are both global and regional, thereby realizing a universal specificity that can be appreciated by everyone regardless of nationality or region. He sought to explore the originality and identity of his works within the global art scene by securing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raditional Eastern calligraphy culture into a modern abstract art language, based on Eastern calligraphy culture and Western compositional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문자 추상의 형성 배경
Ⅲ. 문자 쓰기의 추상적 조형화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