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Yangmingian aesthetic consciousnesscriticismof “Mok-gyek-do-jon” of Jeong Seon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진리바(Li-ba Jin)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제47호, 215~24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의 회화를 心學美學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겸재는 진경산수화를 창안하여 조선 회화사에 독창적 화풍을 확립했으며, 그의 회화는 단순한 실경 재현을 넘어 本來心과 덕성을 구현하고자 한 예술적 실천으로 이해된다. 특히 ‘目擊道存’의 태도는 겸재 회화의 心學的 성격을 보여주는 핵심적 전제로, 자연의 관찰과 내적 성찰을 결합하여 주객의 경계를 초월하는 심미적 경지를 구현했다. 이러한 의식은 隱逸的 삶을 반영한 원림 공간의 高逸美,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情景合一, 덕성과 본래심을 드러낸 주체적 회화의식으로 나타난다. 겸재의 회화는 사실성과 철학적 성찰이 결합된 독창적 산물로서,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성립을 이끌었을 뿐 아니라 한국미학사의 특수성과 동아시아 회화사 속 위상을 조명하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aintings of Gyeomjae Jeong Seon (1676-1759) from the perspective of Simhak (Learning of the Mind) aesthetics. Jeong pioneered jingyeong sansuhwa (true-view landscape painting) and established an independent style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His works should be understood not merely as representations of actual scenery, but as artistic practices aimed at embodying the original mind (bonlae sim) and moral virtue. In particular, the notion of mokgyeok dojon (目擊道存, “seeing reality and realizing the Dao”) served as a key premise that revealed the Simhak-oriented nature of his aesthetics. By combining direct observation of nature with inner reflection, Jeong transcended the boundary between subject and object, thereby realizing a philosophical and moral mode of painting.
This aesthetic consciousness is manifested in three interrelated aspects: the pursuit of lofty elegance (goilmi, 高逸美) reflected in depictions of reclusive gardens, the aesthetics of unity between emotion and scenery (jeonggyeong hapil, 情景合一), and a self-conscious painting practice that embodied virtue and the original mind. Jeong’s art, therefore, represents an original synthesis of empirical observation and philosophical reflection. It not only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jingyeong sansuhwa in the late Joseon period, but also highlights the uniqueness of Korean aesthetics and repositions Joseon painting within the broader East Asian art history.
목차
Ⅰ. 서론
Ⅱ. 겸재 창작활동의 기저
Ⅲ. 겸재 심미의식의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