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Seal Script in the Monumental Inscriptions (題額) of the 15th and 16th Centuries: Focusing on the Geumsikjipcheop (金石集帖) in the Kyoto University Library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최성종(Seong-jong Choi)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제47호, 57~8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김재로(金在魯, 1682-1759)가 편찬한 『금석집첩(金石集帖)』은 조선의 방대한 전서 자료를 확인할 수 있고 당대 명필로 알려진 서예가의 필적과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무명 서예가의 필적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그러나 『금석집첩』에 관한 서예학 연구는 다소 미비한 실정이며 본격적인 전서 연구는 진행되지 않은 것에 이 논문을 작성한 것이 배경이다.
이 논문은 『금석집첩』에 수록된 제액(題額)을 15·16세기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위해 먼저 조선 이전의 전서 연원을 살피고자 고려 말의 전서를 개괄하였다. 고려말의 전서는 주로 이양빙과 조맹부 영향으로 전개되어 조선까지 영향을 받았다. 15·16세기 전서 양상을 확인하여 각 시기별로 서예사적 의미와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15·16세기 금석문 제액의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금석집첩』에 수록된 서예가들의 전서를 분류하고 체계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해당 시기 서예가들이 구사한 전서의 특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시기에 따라 변화된 양상이 무엇인지, 공통점·차이점은 무엇인지 살폈다. 이를 통해 각 시기의 전서풍 특징을 정리하면 15세기 전서의 특징은 크게 소전류와 고전류로 나뉘며, 특히 소전이 중심을 이루었으나 제액에 고전을 활용한 점은 다른 시기와 구별되는 독자적 특징도 확인된다. 15세기의 소전은 엄정한 전형을 지키기는 장방형의 소전과 고박하면서도 건실한 정방형의 소전으로 두 가지의 형태로 구사되었다. 반면 고전을 활용한 제액은 15세기에서만 나타난 특징이며, 이후 시기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16세기 전서는 전반적으로 소전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나, 다양한 변화를 접목된 것이 특징이다. 16세기 전반에는 15세기 전서풍의 여운이 남아 고졸하고 단아한 서풍과 세련된 소전이 혼재하는 과도기적 서풍이 나타나며 중·후반에는 세장하고 세련된 서풍으로 변모하였다. 특히 16세기 초 고졸한 전서에서 세장하고 단정하며 다양한 전서풍을 선도한 인물은 박영(朴詠, ?-?)이다. 박영이 만든 전서 학습서『전중용(篆中庸)』이 조선 사가에 입수되어 활용되었으며 16세기 전서풍의 변화와 특색있는 전서를 구체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금석집첩』에 수록된 16세기 제액에서 여실히 나타난다.
영문 초록
The Geumsikjipcheop (金石集帖), compiled by Kim Jae-ro (金在魯, 1682-1759), is a valuable source that preserves a vast corpus of seal script (篆書) materials from the Joseon dynasty. It includes the calligraphy of both renowned masters and relatively unknown scribes, making it a crucial resource for the study of Korean epigraphy and calligraphy. However, scholarship on the Geumsikjipcheop has remained limited, and in particular, comprehensive research on seal script has yet to be undertaken. This study was therefore undertaken to fill this gap.
Focusing on the title inscriptions (題額) contained in the Geumsikjipcheop, this paper examines the stylistic development of seal script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o trace its origins, the study first outlines late Goryeo seal script, which was largely influenced by Yi Yang-byeong and Zhao Mengfu, and which subsequently impacted the calligraphy of early Joseon. The analysis then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seal script styles in each century.
To investigat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monumental inscriptions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he seal script works of calligraphers in the Geumsikjipcheop were classified and systematized. This classification enabled a comparison of stylistic features, changes across periods, and shared or divergent tendencies. The findings reveal that 15th-century seal script was divided into two major currents: small seal script (小篆) and ancient seal script (古篆). Small seal script was predominant, manifested in two distinct forms—rectangular, rigid styles and square, compact styles. The use of ancient seal script in monumental inscriptions, however, is a distinctive feature observed only in the 15th century.
In contrast, 16th-century seal script remained centered on small seal script but incorporated diverse stylistic innovations. The early 16th century displays a transitional style, blending the archaic and refined influences of the 15th century, while the mid- to late 16th century saw the emergence of slender, sophisticated forms. A key figure in this transformation was Park Yeong (朴詠, ?-?), whose instructional manual Jeonjungyong (篆中庸) circulated within Joseon scholarly circles. His work played a pivotal role in defining the stylistic evolution of seal script and fostering distinctive trends in the 16th century, which are clearly reflected in the title inscriptions preserved in the Geumsikjipcheop.
목차
Ⅰ. 머리말
Ⅱ. 15·16세기 전서의 형성과 기반
Ⅲ. 15세기 전서풍의 현상과 특징
Ⅳ. 16세기 전서풍의 현상과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