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개정 실과교육과정 가정분야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9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an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Home Economics Section in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성숙(Sung-sug Lee)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8권 제3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26년부터 적용되는 2022개정 실과교육과정에 따른 가정분야에서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22개정 실과교육과정의 목표를 분석하였고, 2022개정 실과교육과정 가정분야의 생태전환교육과의 관련성을 교육부(2021)의 생태전환교육의 주요 영역 및 내용요소와 윤지현 외(2022)의 생태전환교육이 지향하는 생태소양의 구성요소를 분석 준거로 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 영역에서 7개의 모든 내용요소가 생태전환교육과 관련이 있었으므로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 내용요소와 생태전환교육 관련성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주제를 선정하였다. 내용요소 중 생활자원의 특징 1개, 생활자원의 보관과 활용 1개, 식재료의 생산과 선택 2개, 음식의 마련과 섭취 1 개, 옷이나 생활용품의 구성 3개, 생활공간과 정리정돈 1개, 지속가능한 의식주생활 1개로 총10개의 프로그램 주제별 목표와 활동 내용, 수업지도안 예시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2022개정 실과교육과정에 따라 가정분야에서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초등학생에게 적용하여 실생활 속에서 생태적 문제를 인식하고, 생태시민성함양뿐만 아니라 책임 있는 태도와 실천 역량 측정 등에서 효과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within the home economics section of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scheduled for implementation from 2026. The objectives of the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major domains and content elements of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2021) and the ecological literacy framework proposed by Yoon et al. (2022). Analysis revealed that all seven content elements in the domain of “Liv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s” were connected to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Based on this relevance, ten program topics were selected,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living resources; production and selection of food materials; cooking and dietary practices; composition of clothing and living goods; organization of living spaces; and sustainable-conscious living. For each topic, learning objectives, activity contents, and lesson plan examples were developed, ensuring the program’s practical application. This program is expected to help elementary students recognize ecological issues in everyday life, foster ecological citizenship, and strengthen both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and their competencies for sustainable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숙(Sung-sug Lee). (2025).2022개정 실과교육과정 가정분야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8 (3), 1-23

MLA

이성숙(Sung-sug Lee). "2022개정 실과교육과정 가정분야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8.3(2025): 1-2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