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a Learner-Centered Language Instruction Course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Language Education and Changes in Language Teaching 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박은주(Eun Ju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제29권 제3호, 277~30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언어교육 인식 및 언어교수효능감 변화에 있어 학습자 중심 언어지도 수업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C 대학교에서 2025년 1학기에 언어지도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 23명이다. 본 연구도구는 윤진주(2009)가 개발한 ‘유아 언어교수효능감 검사도구’이다. 수집한 자료에는 언어교수효능감 설문지, 언어교육 인식에 대한 개방형 설문지, 중간-기말 강의평가자료, 수업결과물 등이 있었다. 이 자료들에 대한 양적분석 및 질적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언어의 개념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이론적·개념적 이해에서 실천적 인식 및 태도로, 그리고 개인적 인식에서 유아교사의 영향력 및 책임 인식으로 변화되었다. 유아언어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전 생애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시기’의 인식 강화로, 그리고 전인적 발달의 주요도구로서의 인식 확대로 변화되었다. 다음으로, 언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습자 중심 언어지도 수업은 예비교사의 언어교수효능감 향상에 효과(t=-2.86)가 있으며, 특히 개인적 교수효능감 증진에 효과(t=-3.68)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변화요인에는 학습공동체와의 모의수업 및 주도적인 학습활동 경험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학습자 중심 언어지도 수업은 예비교사들의 언어교육 인식 및 언어교수효능감 증진에 효율적인 교수방법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learner-centered language instruction course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language education and changes in their language teaching efficacy. The participants were 23 students enrolled in a language instruction course at C University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5. The research instrument used was the “Early Childhood Language Teaching Efficacy Scale” developed by Yoon Jin-Joo (2009). Data collected for the study included a language teaching efficacy questionnaire, open-ended survey responses on perceptions of language education, midterm and final course evaluations, and course-related output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language shifted from a theoretical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to a more practical awareness and attitude, and from a personal perspective to a recognition of the influence and responsi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i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evolved into an enhanced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as a “critical period” that impacts the entire lifespan, and expanded to include language as a key tool for holistic development. Second, regarding the effects on language teaching efficacy, the learner-centered language instruction cours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language teaching efficacy (t = -2.86), with a particularly strong effect on enhancing their personal teaching efficacy (t = -3.68). Factors contributing to this change included experiences of mock teaching sessions within a learning community and engagement in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In conclusion, the learner-centered language instruction course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enhanc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language education and their language teaching 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