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과에 삽입한 협력교수 기반 봉사학습이 초등 통합학급의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에게 미친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Effects of Co-Teaching Based Service Learning Embedded in Social Studies o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양여경(Yeo Kyung Yang) 박승희(Seung Hee Park)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60권 제2호, 183~21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5학년 1학기 사회과 일부 단원의 재구성을 통해 ‘사회과에 삽입한 협력교수 기반 봉사학습’ 중재를 개발하여 통합학급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시민성 역량, 사회과 학습 흥미도 및 또래관계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1개교의 5학년 4개 통합학급 학생 총 85명(장애학생 4명, 비장애학생 81명)이다.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인 2개 통합학급 학생 43명(장애학생 2명, 비장애학생 41명)에게 사회과에 삽입한 협력교수 기반 봉사학습인 [마주하다] 프로젝트의 총 23회기 수업을 제공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인 2개 통합학급 학생 42명(장애학생 2명, 비장애학생 40명)은 사회과 교과서를 통한 해당 단원 학습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에서 실험집단 비장애학생은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고, 장애학생은 통제집단보다 더 많은 향상을 보였다. 둘째, 시민성 역량에서 실험집단 비장애학생은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고, 장애학생은 통제집단보다 더 많은 향상을 보였다. 셋째, 사회과 학습 흥미도에서 실험집단 비장애학생은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고, 장애학생은 통제집단보다 더 많은 향상을 보였다. 넷째, 통합학급의 또래관계망에서 실험집단 비장애학생은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으며 장애학생은 외향중심성에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통합학급의 정규교과 맥락에서 봉사학습이 실행된 연구가 없는 국내 상황에서 사회과에 삽입한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간 협력교수를 통해 교수적 수정을 포함한 교수전략을 개발하여 실행한 후 통합학급 전체 학생(장애 및 비장애학생)에 대해 교육적 효과를 검증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implement a co-teaching based ‘service learning’ embedded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the fifth grade,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students’ sense of community, citizenship competency, interest in social studies, and peer networks among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es. The participants were 85 fifth graders(4 with disabilities and 81 without) from four inclusive classe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South Korea.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The experimental group comprising two inclusive classes(n=43; 2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41 without) participated in a 23-session service learning program, which was collaboratively taught by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n=42; 2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40 without) received instruction using the standard social studies textbook.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sens of community, citizenship competency, and interest in social studies. Similarly,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gains in these variables compared to their peers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in terms of peer networks,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exhibited positive change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demonstrated an increase in out-degree centra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to develop and implement a service learning program embedded within the regular curriculum of inclusive classes in Korea. Notably,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rough co-teaching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ts effectiveness was confirmed for both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여경(Yeo Kyung Yang),박승희(Seung Hee Park). (2025).사회과에 삽입한 협력교수 기반 봉사학습이 초등 통합학급의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에게 미친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60 (2), 183-219

MLA

양여경(Yeo Kyung Yang),박승희(Seung Hee Park). "사회과에 삽입한 협력교수 기반 봉사학습이 초등 통합학급의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에게 미친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60.2(2025): 183-219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