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이해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발달장애 학생의 자아존중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

영문명
The Effects of a Self-Understanding-Centered Career Education Program on Self-Esteem,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이새결(Saekyeol Lee) 이숙향(Suk-Hyang Lee)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60권 제2호, 101~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기이해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실행한 후, 해당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 소재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학생 10명이며, 유사한 수준의 두 반(각 5명)으로 구성하여 연구자가 동일한 내용으로 직접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종속변인으로는 자아존중감 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 진로성숙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선행연구 분석과 현장 요구도 조사를 바탕으로 도출한 자기탐색, 감정 인식, 강점 탐색, 자기수용 등 자기이해의 핵심 요소들을 중심에 두고 구성되었으며, 이를 진학, 취업, 지역사회 전환 등 실제 진로 설계와 연계한 것이 특징이다. 총 15회기로 구성된 프로그램은 주 2~3회, 회당 50분간 운영되었으며, 자기이해 기반의 활동이 진로 목표 수립으로 자연스럽게 확장되도록 설계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은 세 가지 종속변인의 사전-사후 점수 변화에 대해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통해 수행하였고, 그 결과 자아존중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이해를 중심에 둔 체계적 진로교육 접근이 학생의 진로역량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implement a self-understanding-centered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examine its effects on self-esteem,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10 students enrolled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at a high school in the Gyeonggi Province, divided into two groups of five based on similar levels. A 15-session intervention was conducted by the researcher using a single-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standardized instruments for self-esteem,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uniquely designed by integrating core components of self-understanding—such as personality traits, emotional awareness, recognition of personal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self-acceptance—derived from prior research and need analysis. These components were systematically linked to career planning activities related to academic pathways, employment, and community transition.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wo to three times per week, with each session lasting 50 minutes, and aimed to foster self-directed career design by guiding students to explore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pply these insights to real-life planning. The results of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three dependent variables after the interv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self-understanding and offers a practical model for individualized career instruction with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새결(Saekyeol Lee),이숙향(Suk-Hyang Lee). (2025).자기이해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발달장애 학생의 자아존중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60 (2), 101-128

MLA

이새결(Saekyeol Lee),이숙향(Suk-Hyang Lee). "자기이해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발달장애 학생의 자아존중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60.2(2025): 101-12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