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고학년 경계선 지능 아동의 읽기 수행 조건에 따른 이야기 이해

이용수 0

영문명
Story Comprehension According to Reading Performance Conditions in Upper Elementary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박주언(Ju Eon Park) 이은주(Eun Ju Lee) 황지은(Ji Eun Hwang)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60권 제2호, 81~10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읽기 수행 조건에 따라 경계선 지능 아동과 생활연령일치 일반 아동의 이야기 이해 능력과 오류 양상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경계선 지능 아동 10명과 생활연령일치 일반(이하 CA)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읽기 수행 조건(읽기, 들으며 읽기)에 따른 이야기 이해 과제를 실시하였다. 이야기 이해 유형은 사실적 정보이해, 추론적 이해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경계선 지능 아동의 이야기 이해 점수는 CA 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두 집단 모두 ‘들으며 읽기’ 조건의 이해 점수가 ‘읽기’ 조건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오류 분석 결과, 사실적 정보이해에서는 두 집단 모두 ‘읽기’ 조건에서 ‘사실적 이해 및 질문이해오류’가 주된 오류 유형이었다. 특히 ‘텍스트 연결 추론’ 과제에서 ‘들으며 읽기’는 경계선 지능 아동의 ‘모른다’는 소극적 응답을 다른 오류 유형으로 전환시키며 과제 시도를 유도하는 질적 변화를 보였다. 반면 ‘빠진 정보 추론’에서는 두 집단 모두 조건과 무관하게 ‘추론오류’가 가장 주된 오류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들으며 읽기’ 방식이 경계선 지능 아동의 문자 해독 부담을 줄여 이야기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효과적인 지원 전략임을 시사한다. 그러나 고차원적 추론 과정의 어려움은 여전히 지속되므로, 청각적 지원과 더불어 구체적 이해 전략 및 추론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적 지원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tory comprehension abilities and error patterns betwee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IF) and their chronological age-matched (CA) peers under different reading conditions. Participants included 10 children with BIF and 10 typically developing CA children in the 5th and 6th grades. Story comprehension tasks were administered under two conditions: independent reading and Reading While Listening (RWL). Comprehension was assessed across two domains: factual information and inferential understanding.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BIF scored significantly lower in story comprehension compared to their CA peers. Both groups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RWL condition than in the independent reading condition. Error analysis indicated that, in factual comprehension tasks, the predominant error type for both groups in the independent reading condition was errors related to factual understanding and question interpretation. Notably, in text-connecting inference tasks, the RWL condition led children with BIF to shift from passive responses such as “I don’t know” to other error types, reflecting greater task engagement. In contrast, for missing-information inference tasks, inference errors were the most frequent error type seen across both groups, regardless of condi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WL is an effective support strategy for children with BIF, as it both reduces the burden of decoding and improves access to stories. However, persistent difficulties in higher-order inferential processes highlight the need for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combine auditory scaffolding with explicit supports to foster story comprehension and reasoning skill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주언(Ju Eon Park),이은주(Eun Ju Lee),황지은(Ji Eun Hwang). (2025).초등학교 고학년 경계선 지능 아동의 읽기 수행 조건에 따른 이야기 이해. 특수교육학연구, 60 (2), 81-100

MLA

박주언(Ju Eon Park),이은주(Eun Ju Lee),황지은(Ji Eun Hwang). "초등학교 고학년 경계선 지능 아동의 읽기 수행 조건에 따른 이야기 이해." 특수교육학연구, 60.2(2025): 81-10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