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scussion and Alternatives on the Legislative Proposal for the Separation of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 발행기관
- 한국형사소송법학회
- 저자명
- 이창현(Chang-Hyun Lee)
- 간행물 정보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제17권 제3호, 85~11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최근 민주당 의원들 중심으로 검찰청을 폐지하고 수사와 기소를 완전히 분리하겠다는 내용의 ‘4대 검찰개혁법안’이 발의되었다.
먼저 4대 검찰개혁법안인 ‘검찰청법 폐지 법률안’, ‘공소청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 ‘중대범죄수사청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 ‘국가수사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의 중요 내용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위 법률안들에 대해 문재인 정부 시기에 2차례에 걸친 검·경수사사권 조정에 따른 검찰개혁의 성과와 부작용 등에 대해 종합적인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이재명 정부가 들어서자마자 너무 급격히 검찰개혁을 완성하겠다는 움직임에 대해 큰 우려가 되고, 구체적으로 수사와 기소는 이론상 가능할지 몰라도 현실적으로는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고, 계속 급격한 변화에 따라 수사기관이 난립하고 수사절차가 극도로 혼란스럽고, 검찰의 업무축소와 수사기관의 신설로 국가수사위원회의 설립 필요성은 인정되지만 방대한 업무와 막강한 권한의 위원회 조직 신설이 오히려 수사의 독립성을 저해하고 수사절차가 비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고, 개정을 하더라도 형사소송법 등 관련법과 병행하여 개정이 이루어져야 함을 지적하였다.
이재명 정부의 여당이 국회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사와 기소 분리’라는 방향을 존중하면서도 제대로 형사사법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서 검찰은 원칙적으로 수사개시권은 인정하지 않더라도 헌법에서 검사의 영장청구권을 인정하고 있기에 검찰의 수사기관성 자체를 폐지할 수는 없으므로 검찰청의 명칭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수사감독권은 필요하고, 이러한 수사감독권에는 경찰에 수사개시요구권과 보완수사요구권 등을 행사하고, 필요에 따라 직접 보완수사권과 관련사건 수사권을 가지며, 다른 수사기관의 범죄에 대한 수사권 등을 내용으로 한다. 그리고 국가수사본부에서 중대범죄수사청의 수사업무까지 통할하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특별검사와 특별감찰관 제도를 적극 활용하고, 장기적으로 전문분야별 특별수사기관의 설립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끝으로 검찰개혁은 검사에게 수사권을 완전히 빼앗고 권한행사를 못하게 하는 것이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되며, 공정하고 효율적인 수사기능을 되살려서 국민을 보호하고 돕는 형사사법시스템을 갖추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 국회 정치인들뿐만 아니라 보다 많은 분들의 참여와 노력이 필요한 상황임을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a group of lawmakers from the Democratic Party proposed the so-called “Four Major Prosecutorial Reform Bills,” which aim to abolish the Prosecutors’ Office and completely separate the functions of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key contents of the proposed bills : the Abolition of the Prosecutors’ Office Ac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Public Prosecution Office Ac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Serious Crimes Investigation Office Act, an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National Investigation Commission Act.
Next, the paper highlights concerns that these bills are being pushed forward hastily under the Lee Jae-myung administration without a thorough evaluation of the achievements and shortcomings of the two rounds of prosecutorial reforms carried out during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while the theoretical feasibility of separating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may be acknowledged, it is argued that such a separation is extremely difficult—if not impossible—in practice. Rapid institutional changes may lead to the proliferation of investigative bodies and severe procedural confusion. Furthermore, alth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Investigation Commission appears necessary in light of the reduced role of the prosecution and the creation of new investigative agencies, the Commission’s vast responsibilities and concentrated powers may undermine the independence of investigations and reduce procedural efficiency. This study also emphasizes that revisions must be accompanied by corresponding amendments to related laws, such as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 light of the ruling party’s majority in the National Assembly, the paper argues that while respecting the policy direction of separating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it is also necessary to ensure the proper functioning of the criminal justice system. Since the Constitution grants prosecutors the authority to request warrants, it is impossible to abolish the prosecutorial function of the Prosecutors’ Office altogether. Therefore, the name of the Prosecutors’ Office should be maintained, with prosecutors retaining supervisory authority over investigations. This supervisory authority would include the power to request the initiation of investigations, require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from the police, directly conduct supplementary or related case investigations when necessary, and investigate crimes committed by other investigative bodies. In addition, the Nation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should oversee the functions of the Serious Crimes Investigation Office, while institutions such as the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 (CIO), special prosecutors, and inspectors general should be actively utilized. In the long term,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investigative bodies in specific fields may also be considered.
Final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prosecutorial reform should not aim merely at depriving prosecutors of investigative powers or restricting their authority. Rather, its true goal should be to restore fair and efficient investigative functions in order to protect and serve the people. To achieve this, the participation and efforts of not only politicians in the National Assembly but also a broader range of stakeholders are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4대 검찰개혁법안의 중요 내용
Ⅲ. 4대 검찰개혁법안의 문제점
Ⅳ.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대안 모색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