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숨 쉬는 그릇 항아리: 인내와 변화의 상징

이용수 0

영문명
The Jar as a Breathing Vessel: A Symbol of Patience and Transformation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저자명
이정옥(Jeongok Lee)
간행물 정보
『상징과 모래놀이치료』제16권 제2호, 75~111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민담, 종교, 연금술, 그리고 모래놀이치료에 나타난 항아리의 상징성을 탐색하였다. ‘우렁각시’, ‘단지 할머니’, ‘식장산의 효자’와 같은 민담 속에서 항아리는 무의식의 통합, 모성, 인내, 심리적 변화를 상징하는 그릇으로 등장한다. 천주교, 도교, 불교와 같은 종교적 맥락에서는 항아리가 고난과 인내, 내면의 성찰과 수용을 통해 자기실현을 상징한다. 연금술에서는 질그릇(aludel)이 내적 변화와 개성화의 그릇으로 기능하며, 흑화(nigredo), 백화(albedo), 적화(rubedo)의 과정을 통해 대극의 통합과 재탄생을 상징한다. 모래놀이치료의 중년 여성 사례에서 항아리는 억압된 감정과 모성에 대한 양가감정을 품은 채, 알아차림과 치유를 통해 성숙과 회복의 상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양한 부분에서 나타난 항아리의 상징성인 모성과 여성성, 인내, 성숙, 죽음과 재탄생, 궁극적으로는 치료적 변화를 상징함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symbolism of the jar as it appears in folktales, religion, alchemy, and Sandplay therapy. In Korean folktales such as The Snail Bride, The Grandmother in the Jar, and The Filial Son of Mt. Sikjang, the jar appears as a symbolic vessel representing the integration of the unconscious, motherhood, patience, and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In religious contexts such as Catholicism, Taoism, and Buddhism, the jar symbolizes self-realization through suffering, endurance, inner reflection, and acceptance. In alchemy, the earthenware vessel (aludel) serves as a container for inner transformation and individuation, symbolizing the integration of opposites and rebirth through the stages of nigredo, albedo, and rubedo. In a case study of a middle-aged woman in Sandplay therapy, the jar emerged as a symbol of maturity and healing, containing her repressed emotions and ambivalent feelings toward motherhood, and reflecting a process of awareness and therapeutic chan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jar across various domains—as a representation of motherhood and femininity, patience, maturity, death and rebirth, and ultimately, therapeutic transformation.

목차

Ⅰ. 서 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 모래놀이상담연구
  •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 어문연구
  •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 Journal of Symbols & Sandplay Therapy
  • 시공디스커버리
  • Spring
  • 까치글방
  • 민음사
  • 루비박스
  • Routledge & Kegan Paul, London
  • Yale University Press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한국융연구원 C. G.융 저작 번역서 6권
  • 솔출판사
  • Bollingens Series XLⅡ. Princeton University Press
  • Jessica Kingsley Publishe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옥(Jeongok Lee). (2025).숨 쉬는 그릇 항아리: 인내와 변화의 상징.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16 (2), 75-111

MLA

이정옥(Jeongok Lee). "숨 쉬는 그릇 항아리: 인내와 변화의 상징."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16.2(2025): 75-11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