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NS가 흔드는 행복, 정부신뢰가 지켜줄 수 있을까?

이용수 9

영문명
The Unequal Impact of SNS on Happiness: Exploring the Protective Role of Government Trust
발행기관
한국국정관리학회
저자명
유승주(Seung Ju Yoo)
간행물 정보
『현대사회와 행정』第35卷 第3號, 105~13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SNS를 통해 유발된 상대적 박탈감이 개인의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양자 간의 관계에서 정부신뢰가 조절효과로서 기능할 수 있는지를 함께 살펴보았다. 특히, 심리적 자원의 손실과 회복을 강조하는 자원보존이론(COR theory)을 차용하여, 정부신뢰를 정서적 자원의 손실을 방지하고 회복을 촉진하는 ‘심리적 보호자원’으로 확장적 개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SNS상에서 겪은 상대적 박탈감은 개인의 행복도를 감소시키는 부정적 효과를 보였으며, 정부에 대한 신뢰가 이 부정적 효과를 유의미하게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신뢰의 조절적 기능은 20~30대 청년층에서 두드러지게 발현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청년층 같이 사회적・심리적 지지 기반이 취약하고, SNS를 통한 일상적 비교에 노출된 세대에서 정부신뢰가 심리적 완충제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청년층의 정서적 안정성 제고와 사회적 고립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적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 of relative deprivation induced by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on individuals’ subjective well-being and examines whether trust in government functions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is relationship. Based onthe Conservation of Resources (COR) theory, which emphasizes the loss and restoration of psychological resources, this study conceptualizes government trust as a psychological resourcethat buffers emotional resource loss and fosters resilience. The analysis reveals that relative deprivation experienced through SNS use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individuals’ happiness, while trust in government mitigates this adverse impact. Notably, the moderating effect of government trust is particularly pronounced among youth in their 20s and 30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overnment trust can serve as a psychological buffer for younger generations, who often lack strong social and psychological support systems and are frequently exposed to social comparisons via SNS. Th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policy measures aimed at enhancing the emotional stability of young people and preventing social isol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승주(Seung Ju Yoo). (2025).SNS가 흔드는 행복, 정부신뢰가 지켜줄 수 있을까?. 현대사회와 행정, 35 (3), 105-133

MLA

유승주(Seung Ju Yoo). "SNS가 흔드는 행복, 정부신뢰가 지켜줄 수 있을까?." 현대사회와 행정, 35.3(2025): 105-13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