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visiting the Program Logic Model in Government Communication: From Linear Assumptions to Multidimensional Causality
- 발행기관
- 한국국정관리학회
- 저자명
- 최미정(Mijung Choi) 박형준(Hyung Jun Park)
- 간행물 정보
- 『현대사회와 행정』第35卷 第3號, 73~10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정책소통의 효과 평가의 맥락에서 프로그램 논리모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기존 논의에서 프로그램 논리모형은 실증적 검증의 대상이 되지 않는 이론적 구성물이라는 견해와, 실효성 제고를 위해 경험적 검토와 조정이 필요하다는 견해가 대립한다. 이 연구는 후자의 관점에 입각하여 프로그램 논리모형의 상황, 투입, 과정, 산출 및 결과의 다섯 가지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검토했다. 분석 결과, 논리모형의 요인들은 선형적・위계적으로 작용하기보다 입체적・다각적 상호작용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네 가지를 발견했다. 첫째, 상황요인은 투입과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과정과 산출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법・제도적 기반이 확대될수록 인력이 증가했고, 소통만족도, 기관만족도 및 정책수용성이 향상되었다. 둘째, 투입요인은 과정과 산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결과에 차별적 영향을 나타냈다. 예산이 클수록 결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인력은 부정적 결과가 나타나 인력의 수 뿐 아니라 인력의 전문성과 동기 등이 중요함을 시사했다. 셋째, 과정요인은 산출과 결과 모두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중심 콘텐츠는 국민의 공감을 저하시키는 반면, 소통만족도와 기관만족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소통강도가 높을수록 공감이 증가하였고, 소통빈도가 높을수록 정책수용성은 증가하였으나 소통양방향성은 낮아지는 차별적 효과가 함께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산출은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선형적 모형을 수정하여 비선형적 정책소통 효과 프로그램 논리 모형을 제시했다. 이 연구는 프로그램 논리모형의 이론적 가정을 실증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요인 간 인과구조를 심층적으로 규명했다는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program logic model in the context of evaluating government communication effectiveness. While some scholars argue that the program logic model is a theoretical construct not subject to empirical study, others emphasize the need for empirical verification and adjustment to enhance its practical utility. Adopting the latter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five components of the logic model: situation, input, process, output, and outcome. The findings reveal that these factors do not operate in a linear or hierarchical manner but form multidimensional and interactive relationships. First, the situation factor significantly influenced input and outcome, with stronger legal-institutional foundations increasing personne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rganizational satisfaction, and policy acceptance. Second, input factor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s on process or output but had differential effects on outcomes: larger budgets yielded positive outcomes, whereas larger personnel sizes were associated with negative outcomes, highlighting the role of expertise and motivation over numbers. Third, process factors influenced both output and outcome; for instance, event-centered content reduced public empathy but increased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intensity and frequency had positive but differentiated effects, while bidirectionality declined. Finally, outp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utcome. By empirically testing the theoretical assumptions of the program logic model, this study deepens understanding of causal linkages among factors and highlights the comprehensive role of situation and process in evaluating government communication effectiveness, contributing to the academic discourse on program evalu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Ⅲ. 연구 범위와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