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학업열의와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저자명
조윤진(Yunjin Jo) 조규판(Gyupan Cho)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5권 3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학업열의와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 소재 3개 중학교 학생 277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학업열의와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열의, 학업탄력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학업열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셋째,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학업열의 및 학업탄력성 등의 정서·심리적 자원을 매개로 하여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단순한 개인 특성이나 동기 수준의 산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가정환경, 정서적 자원, 인지적 전략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심리적 체계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향후 청소년기의 학습지원 전략에 있어 정서적·환경적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론적·실천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77 stude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Busa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resilience,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academic engagement, academic resili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Second, academic engageme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academic self-efficacy. Third, academic 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al autonomy support can influence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through emotional and psychological resources, such as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resili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윤진(Yunjin Jo),조규판(Gyupan Cho). (2025).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학업열의와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 15 (3), 1-22

MLA

조윤진(Yunjin Jo),조규판(Gyupan Cho).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학업열의와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 15.3(2025): 1-2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