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이용수 0

영문명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cept-Based Inquiry Learning Based o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조호제(Ho-Je Cho) 임경희(Kyoung-Hee Lim) 박희영(Hee-Young Park) 백수진(Soo-Jin Paik) 안은정(Eun-Jeong An)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1권 제5호, 547~56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방향성에 부합하는 ‘개념 기반 탐구학습 모형’을 토대로 한 개념 중심 학습 단원 설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초등 3~4학년군 사회과와 음악과 단원에 국한하여 실제 적용하고 그 실행 가능성과 교육적 타당성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이론적 강점을 토대로, 현장 교사가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설계 모형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사회과 및 음악과 단원에 적용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명제적 지식의 귀납적 및 연역적 접근과 절차적 지식의 접근 등 세 가지 탐구 방법을 수업에 반영하여 학습자의 개념 이해와 전이를 촉진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수업 모형의 타당성은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인터뷰(FGI)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교사들은 설계 모형이 수업의 구조화와 단계적 실행에 도움이 되었으며, 학생들의 개념적 사고와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도한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동시에 일부 교사는 개념 정의 및 일반화 단계의 난이도, 평가 설계의 일관성 부족, 교사의 사전 연수 필요성을 한계로 지적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개념 기반 탐구학습이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향에 부합하는 실천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교사의 수업 전문성 강화와 교육과정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용어 정제, 구체적 사례 제공, 체계적 연수와 제도적 지원이 병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장 적용이 가능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교실 수업 혁신과 교육과정 안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cretely present the design of concept-centered learning units based on a concept-based inquiry learning model that aligns with the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research specifically applied this model to Social Studies and Music units for grades 3~4 in elementary school and analyzed its feasibility and educational validity. Methods: Building on the theoretical strengths of concept-based inquiry learning, the study developed a practic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classroom teachers could implement. This model was applied to selected units in Social Studies and Music. Three approaches to inquiry-inductive and deductive approaches to propositional knowledge and an approach to procedural knowledge-were integrated into lessons to promote learner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ransfer.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was examin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perceived the design model as helpful in structuring lessons and facilitating step-by-step implementation, while effectively promoting students' conceptual thinking and engagement. At the same time, some teachers pointed out limitations such as the difficulty of defining concepts and generalizations, inconsistencies in assessment design, and the need for prior teacher training.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ncept-based inquiry learning can serve as a practical alternative aligned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 expertise and strengthen curriculum implementation, it is necessary to refine terminology, provide concrete examples, and ensure systematic training and institutional suppor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offers a practically applicable concept-based inquiry learning model, thereby contributing foundational resources for classroom innovation and successful curriculum implement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개념 기반 탐구학습 단원 설계 적용 및 결과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미래교육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 한국초등교육
  •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 한국교육학연구
  • 음악교육공학
  • 열린교육연구
  • 박영스토리
  • 박영스토리
  • 박영스토리
  • 한국교육개발원
  • 교육과정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호제(Ho-Je Cho),임경희(Kyoung-Hee Lim),박희영(Hee-Young Park),백수진(Soo-Jin Paik),안은정(Eun-Jeong An). (2025).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교원교육, 41 (5), 547-569

MLA

조호제(Ho-Je Cho),임경희(Kyoung-Hee Lim),박희영(Hee-Young Park),백수진(Soo-Jin Paik),안은정(Eun-Jeong An).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교원교육, 41.5(2025): 547-569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