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료협력 기반 TPACK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의 통합적 교수역량 및 과학과 수업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a Peer-Collaboration-Based TPACK Instruction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Integrated Teaching Competency and Science Teaching Expertise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송영욱(YoungWook Song)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1권 제5호, 467~49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동료협력 기반 TPACK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의 통합적 교수역량(TPACK)과 과학과 수업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실천 중심 예비교사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속한 초등 예비교사 3학년 162명이다. 실험집단은 15주 동안 동료협력 기반 TPACK 수업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개별 과제 중심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TPACK 자기 인식 검사와 과학 수업 전문성 인식 검사를 활용한 사전·사후 설문지 및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ANCOVA)과 내용 분석을 통해 정량적·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량적 분석 결과, 실험집단은 TPACK과 과학과 수업 전문성 전반에서 유의미한 인식 수준의 향상을 보였으며, 특히 통합적 교수지식과 수업 평가에 대한 인식에서 효과 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정성적 분석에서는 예비교사들이 수업설계와 기술 활용에 대한 실천적 이해를 확장하였고, 협업과 성찰을 통해 수업에 대한 자신감과 교사로서의 역할 인식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동료협력 기반 TPACK 수업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이 교수·내용·기술지식을 통합적으로 사고하며 실제 수업 맥락에 적용해보는 실천적 경험을 제공하였으며, 교수역량과 수업 전문성에 대한 자기 인식의 의미 있는 향상을 이끌어냈다. 이에 따라 실천 중심의 통합 설계 경험, 협력 기반 활동, 기술 중심 수업설계, 실행 가능성 중심의 수업안 구성과 같은 요소들이 예비교사 교육과정에 체계적으로 포함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eer collaboration-based TPACK instructional program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integrated teaching competence (TPACK) and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to explore the potential of practice-oriented teacher educ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2 third-yea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peer collaboration-based TPACK instructional program for fifteen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instruction centered on individual assignm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 and post-surveys using a TPACK perception scale and a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perception scale, along with open-end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using ANCOVA and content analysis. Results: Quant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perceived levels of TPACK and overall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In particular, their perceptions of integrated teaching knowledge and assessment demonstrated notably large effect sizes.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expanded their practical understanding of lesson design and technology integration, and that their confidence in teaching and awareness of their roles as teachers improved through collaboration and reflection. Conclusion: The peer collaboration-based TPACK instructional program provided pre-service teachers with practical experiences in integrative thinking about and applying pedagogical, content, and technological knowledge within actual classroom contexts. It led to meaningful improvements in their self-perceived teaching competence and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Accordingly, elements such as practice-oriented integrated lesson design, collaborative activities, technology-centered instructional planning, and the construction of feasible lesson plans should be systematically incorporated into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영욱(YoungWook Song). (2025).동료협력 기반 TPACK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의 통합적 교수역량 및 과학과 수업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41 (5), 467-492

MLA

송영욱(YoungWook Song). "동료협력 기반 TPACK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의 통합적 교수역량 및 과학과 수업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41.5(2025): 467-49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