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령가구의 점유형태에 따른 주거이동의향 결정요인 -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Determinants of Residential Mobiliry Intentions Based on Tenure Type in Elderly Households :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발행기관
대한부동산학회
저자명
구자범(Ja Beom Koo) 유선종(Seon Jong Yoo)
간행물 정보
『대한부동산학회지』제77호, 337~36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고령 가구의 점유형태에 따른 주거이동의향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지역균형발전 및 고령인구 주거정책수립의 기초자료 제공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향점수매칭과 이항로짓분석을 활용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의 주거환경의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이는 지역 간 양극화의 심각성을 시사한다. 또한, 수도권 내의 점유형태별 분석결과 임차 가구는 동일 생활권 내의 이동, 자가 가구는 주거이동의향이 기본적으로 낮지만, 정비사업등 외생적 요인에 의해 주거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수도권 내의 점유형태별 분석결과 임차 가구는 수도권 임차 가구와 동일하게 나타났고, 자가 가구는 주거이동의향이 기본적으로 낮지만, 자녀와의 근접성을 고려하는 경우 주거이동의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고령 가구의 경우 계속 거주를 희망하지만, 점유형태에 따라 계속 거주 방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residential mobility intentions by tenure among older households residing in the Seoul Capital Area(SCA) and in non-metropolitan regions,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eline evidence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formulation of housing policy for older adults, and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To this end,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confirm disparities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etween the SCA and non-metropolitan regions, indicating the seriousness of regional polarization. Within the SCA, tenure-specific analyses show that renter households tend to consider moves within the same activity space/neighborhood to preserve accessibility and local ties, whereas owner households exhibit generally low mobility intentions but are more likely to contemplate moving when exogenous shocks—such as urban renewal projects (redevelopment/reconstruction)—arise. In non-metropolitan regions, the pattern for renter households mirrors that in the SCA; owner households likewise report low baseline mobility intentions, but their intention to move increases when proximity to adult children is a salient consideration.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lder households generally prefer to remain in place, yet the way this preference is pursued differs by ten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모형 및 변수의 정의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석사학위 논문
  • 한국사회 복지학
  • 도시행정학보
  • 주택도시금융연구
  • 대한부동산학회지
  • 부동산학연구
  • 대한부동산학회지
  • 주택도시연구
  • 부동산분석
  • 한국위기관리논집
  •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 주거환경
  • 주택연구
  • GRI연구논총
  • 부동산학연구
  • 주택연구
  • 국토계획
  • 토지주택연구
  • 부동산분석
  • 통계연구
  • 대한부동산학회지
  • Handbook of Development Economics
  • Biometrika
  • Health Services and Outcomes Research Method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자범(Ja Beom Koo),유선종(Seon Jong Yoo). (2025).고령가구의 점유형태에 따른 주거이동의향 결정요인 -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부동산학회지, (), 337-361

MLA

구자범(Ja Beom Koo),유선종(Seon Jong Yoo). "고령가구의 점유형태에 따른 주거이동의향 결정요인 -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부동산학회지, (2025): 337-36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