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Factors for Continued Community Residence and Involuntary Retention Solitary Senior : Focused on a Latent Class Analysis Approach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김승주(Seung Ju Kim) 강명구(Myoung Gu Kang)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77호, 115~13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한국은 2025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독거노인 비중이 급증하며, 다수 노인이 익숙한 거주지에서의 ‘지역사회 계속거주(AIP)’를 희망한다. 그러나 주거・사회・경제 환경이 열악할 경우 선택의 여지 없이 잔류하는 ‘Stuck in Place(SIP)’ 위험이 높아진다. 본 연구는 2023년 노인실태조사(9,554명)를 활용해 독거・비독거 노인의 특성과 AIP 의사 요인을 비교 하고, 잠재계층분석(LCA)으로 ‘위험 취약형・혼합형・역량 풍부형’을 도출했으며, 의사-행태 결합을 통해 자발 AIP와 비자발 SIP를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만족도・사회적 연결망・정서건강・디지털 적응・시설 접근성이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독거노인은 공적 수급 및 지역접점, 비독거노인은 주택 소유・의료・교통 접근성이 과제로 나타났다. LCA에서는 자원이 결핍된 ‘위험 취약형’과 전 영역에서 안정적 자원을 가진 ‘역량 풍부형’의 대비가 뚜렷했으며, SIP 탈출에는 자가 거주・사회참여・주택 만족도・시설 접근성이 핵심임이 드러났다. 이를 통해 역량-환경 압력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고, 디지털 적응을 포함한 다차원 분석틀과 유형별 맞춤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AIP를 단순한 ‘노후 선호’가 아니라 주거・사회・디지털 복합 지원을 필요로 하는 정책적 과제로 재정의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As Korea entered a super-aged society in 2025, the proportion of solitary senior has increased, and many hope to “Age in Place (AIP)” within familiar communities. Yet, limited housing, social, and economic resources heighten the risk of involuntary “Stuck in Place (SIP).” Using data from the 2023 National Survey of Older Adults (n=9,554), this study compared determinants of AIP intention between solitaty senior and the others, identified latent subgroups of AIP respondents, and distinguished voluntary AIP from involuntary SIP.
Results showed that housing satisfaction, social ties, mental health, digital adaptation, and access to facilities were key predictors. Public support and local engagement were critical for those living alone, while homeownership and medical/transport access mattered more for those living with others. Latent class analysis revealed clear contrasts between vulnerable and resource-rich groups, and escaping SIP was linked to homeownership, social participation, and service accessibilit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relevance of the competence-environmental press model in Korea and highlight the need for tailored housing, social, and digital policies to support diverse subgroups of older ad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고찰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