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Seniors’ Relocation Intentions Toward Senior Towns : Based on the Push-Pull-Mooring (PPM) Model
발행기관
대한부동산학회
저자명
추성일(Sung il Choo) 김동기(Dong ki Kim) 김대일(Dae ill Kim)
간행물 정보
『대한부동산학회지』제77호, 5~2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시니어타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시니어들의 입주의향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PPM (Push-Pull-Mooring) 모형을 기반으로 시니어타운 입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거관리부담과 가사부담을 Push 요인으로, 의료서비스, 생활편의 서비스, 여가 및 사회활동, 브랜드명성을 Pull 요인으로, 환경변화저항감과 입주비용부담감을 Mooring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전국 55세 이상 시니어 2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Push 요인(주거관리부담, 가사부담), Pull 요인(의료서비스, 생활편의서비스, 여가 및 사회활동, 브랜드명성)은 시니어타운 입주의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Mooring 요인(환경변화저항감, 입주비용부담감)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크기는 생활편의서비스, 의료서비스, 가사부담, 주거관리부담, 브랜드명성, 여가 및 사회활동, 환경변화저항감, 입주비용부담감 순으로 확인되 었다. 본 연구는 기존 주거이동 연구에 활용된 PPM 모형을 시니어타운 맥락에 적용하여 고령친화주거 분야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으며, 시니어타운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영문 초록

With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demand for senior towns is growing. However,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research explaining seniors’ intention to move into such communit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seniors’ intention to move into senior towns by applying the Push-Pull-Mooring (PPM) model. Housing management burden and household chore burden were conceptualized as push factors; medical services, convenience services, leisure and social activities, and brand reputation as pull factors; and resistance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financial burden of moving in as mooring facto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91 seniors aged 55 and older,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he results reveal that push factors (housing management burden and household chore burden) and pull factors (medical services, convenience services, leisure and social activities, and brand reputat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 seniors’ intention to move into senior towns,while mooring factors (resistance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financial burden of moving in) exert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se factors ranks as follows: convenience services, medical services, household chore burden, housing management burden, brand reputation, leisure and social activities, resistance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financial burden of moving i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advancement of age-friendly housing research by extending the application of the PPM model to the senior town context and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of senior tow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분석의 틀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추성일(Sung il Choo),김동기(Dong ki Kim),김대일(Dae ill Kim). (2025).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대한부동산학회지, (), 5-26

MLA

추성일(Sung il Choo),김동기(Dong ki Kim),김대일(Dae ill Kim).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대한부동산학회지, (2025): 5-2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