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반도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후기의 사회네트워크 분석 - 경기 및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Social Networks in the Late Neolithic of the Central-Western Korean Peninsula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홍은경(Eun-Kyung Ho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78輯, 35~6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반도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후기의 이동성과 정주 전략이 시기별로 단선적인 변화가 아니라 복합적인 양상으로 전개되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동성의 증대나 정주성의 강화라는 이분법적 논의보다는 다층적인 사회 전략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및 인천 지역의 주거유적을 대상으로 분포 양상, 주거지의 구조와 점유 형태, 토기 문양 분석을 실시하고, 사회관계망분석(SNA)을 적용하여 시기별 상호작용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신석기시대 후기는 시기별로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후기 전반1기(기원전3,100~2,900년)에는 해안과 내륙이 각기 독립적인 생활권을 유지하며 일부 거점 유적을 매개로 제한적인 상호작용을 한 것이 확인된다. 그리고 해안에서는 비교적 안정적인 정주가, 내륙은 상대적으로 이동성이 높은 방식을 선택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후기 전반2기(기원전 2,900~2,600년)에는 이동성이 증가하고 해안과 내륙 간 네트워크가 강화된다. 주거유적의 소규모화와 토기 문양의 동질화는 단일한 네트워크의 형성과 계절적 이합집산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후기 후반(기원전 2,600~2,300년)에는 해안과 내륙이 다시 상이한 전략을 보인다. 해안에서는 대규모 주거유적의 재등장하면서 정주성이 강화되는 반면, 내륙에서는 새로운 거점이 형성되어 이동성과 정주가 혼합된 양상이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신석기시대 후기 중서부지역은 단순히 이동성 증가 혹은 정주성 강화라는 이분법으로 환원될 수 없으며, 시기별·지역별 맥락 속에서 다층적인 적응과 교류 전략이 공존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mobility and settlement strategies in the Late Neolithic period of the central-western Korean Peninsula developed not as linear changes but as complex and multifaceted pattern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dichotomy of increased mobility versus enhanced sedentism, the study emphasizes the identification of multilayered social strategies. To this end,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distribution of settlements, dwelling structures and occupation types, and pottery decoration in the Gyeonggi and Incheon regions, while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as applied to examine temporal changes in interactions. The results show clear transformations across different phases. In Early Phase 1 (ca. 3100-2900 BCE), coastal and inland groups maintained largely independent spheres of life, interacting only minimally through key sites. Coastal communities exhibited relatively stable settlement patterns, whereas inland groups appear to have followed more mobile strategies. In Early Phase 2 (ca. 2900-2600 BCE), mobility increased, and networks between coastal and inland areas were strengthened. The downsizing of settlements and homogenization of pottery decoration suggest the formation of a single network, with seasonal aggregation and dispersal of groups. In the Late Phase (ca. 2600-2300 BCE), divergent strategies reemerged: large-scale coastal settlements indicate strengthened sedentism, while inland groups formed new hubs, reflecting a mixed pattern of mobility and sedentism. In conclusion, the social strategies in the region during the Late Neolithic cannot be reduced to a simple dichotomy of increased mobility versus enhanced sedentism. Instead, they reveal the coexistence of multilayered adaptive and interactional strategies shaped by temporal and regional contexts.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사 검토: 정주와 이동의 다층적 해석
Ⅲ. 연구의 시공간적 범위와 대상
Ⅳ. 연구 방법
Ⅴ. 시기별 유적 분포와 관계 분석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은경(Eun-Kyung Hong). (2025).한반도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후기의 사회네트워크 분석 - 경기 및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선사와 고대, (), 35-68

MLA

홍은경(Eun-Kyung Hong). "한반도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후기의 사회네트워크 분석 - 경기 및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선사와 고대, (2025): 35-6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