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ntrastive study on the ‘jal’-type property passive sentences in Korean and the ‘NP+hǎo-V’ constructions in Chinese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허가명(Jiaming Xu)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101호, 235~2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한국어 '잘'류 속성 피동문과 중국어 ‘NP+好V’ 구문은 통사적으로 피동작주 주어를 가질 수 있으며 의미상 주어의 속성을 나타낸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본고는 이 두 구문의 통사적 및 의미론적 특성을 대조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에 연구 목적을 둔다. 두 구문은 잠재적인 동작주가 있고, 수식 성분이 필수적으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중간 구문의 특성을 보인다는 공통점이 있다. 피동표지가 나타나지 않는 중국어 ‘NP+好V’ 구문과 달리 한국어 '잘'류 속성 피동문은 피동표지를 필수적으로 나타난다. 이 점은 두 구문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Both the Korean “jal”-type property passive sentences and the Chinese ‘NP+hǎo-V constructions can express the inherent property of the subject and share syntactic and semantic similarities, such as the use of the patient as the grammatical subje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of the Korean “jal”-type property passives sentences and the Chinese ‘NP+hǎo-V constructions to conduct a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these two contrastive item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clar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Both constructions exhibit characteristics of middle sentences such as the presence of an implicit agent, the existence of a modifying element.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construction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xplicit passive marker.
목차
1. 서론
2. 한국어 ‘잘’류 속성 피동문
3. 중국어 ‘NP+好V’ 구문
4. ‘잘’류 속성 피동문과 ‘NP+好V’ 구문의 비교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