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gnitive Processing of Korean Double Negative Sentences by Native Speakers and Advanced Learner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진솔(Sol Jin) 김영주(Youngjoo Kim)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101호, 175~20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두 개의 부정 표현이 결합되어 긍정 의미를 전달하는 이중부정문의 인지 처리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국어 모어 화자와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자기조절읽기 과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는 총 16가지 이중부정문 유형이 제시되었으며, 정답률과 반응 시간을 주요 지표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어 화자는 전반적으로 더 높은 정확도와 빠른 처리 속도를 보였으며, 특히 ‘안 V-지 못하다’, ‘모르- V-지 않다’ 유형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급 학습자는 두 번째 부정 표현이 등장하는 어절에서 반응 시간이 지연되었고, 이는 해당 구간에서 의미 통합에 더 큰 인지적 부담을 느낀 결과로 해석된다. 이러한 양상은 특히 실사용 빈도가 낮은 구조에서 두드러졌다. 본 연구는 이중부정문이 고급 학습자에게도 처리 난이도가 높은 문법 항목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며, 교육 현장에서 이중부정문의 통사 구조와 화용 기능을 통합적으로 다룬 명시적 설명과 반복 학습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native Korean speakers and advanced L2 learners process double negative sentences, in which two negative elements co-occur to yield a positive interpretation. A self-paced reading task was conducted using 16 syntactic types of Korean double negation, analyzing both accuracy and reaction times. Results indicated that native speakers consistently showed higher accuracy and faster processing speeds than learner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merging in structures like 'an-ci mot-hada' and 'mol-ci anh-da'. Learners exhibited delayed reaction times particularly at the point where the second negator appeared, reflecting increased cognitive load during semantic integration. This effect was more pronounced in structures that occur infrequently in authentic input.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double negation remains a challenging construction even for advanced learners, highlighting the need for explicit instruction that addresses both structural form and pragmatic func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결과 분석
5.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