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의 이야기 산출 능력 - 과제 유형 및 사용 언어를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Narrative Skills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Focusing on Task Type and Language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정하은(Haeun Chung) 최영경(Young Kyoung Choi) 임동선(Dongsun Yim)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101호, 143~17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과제 유형 및 언어에 따른 만 6-9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의 이야기 능력을 거시구조와 미시구조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야기 산출 및 회상 과제를 실시하여 이야기 문법 점수, 어휘 다양성, 구문 복잡성의 차이와 아동의 언어적 환경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어의 이야기 문법 점수가 한국어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이는 언어에 따른 거시구조의 차이를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미시구조 측면에서 서로 다른 낱말 수(NDW)는 한국어와 영어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회상 과제에서 서로 다른 낱말 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한국어의 평균형태소 수(MLU)가 영어의 평균형태소 수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과제 유형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영어 노출이 많을수록 영어 MLU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한국어 어휘력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의 이야기 능력 평가 및 지원 시 언어적 특성, 과제 유형, 환경적 요인을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crostructural and microstructural narrative skills of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aged 6 to 9, focusing on the effects of language and task type. Narrative generation and retelling tasks were conducted in both Korean and English to examine differences in story grammar scores, lexical diversity, and syntactic complexity.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skills and linguistic environment was explor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story grammar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nglish than in Korean, supporting previous studies that reported language-dependent differences in macrostructure. In terms of microstructure,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NDW)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but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call tasks, particularly in Korean. Mean Length of Utterance (MLU) was higher in Korean narratives due to the language’s complex grammatical morphology; however, MLU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ross task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greater exposure to English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nglish MLU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Korean vocabular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linguistic characteristics, task types, and environmental factors when evaluating and supporting the narrative abilities of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하은(Haeun Chung),최영경(Young Kyoung Choi),임동선(Dongsun Yim). (2025).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의 이야기 산출 능력 - 과제 유형 및 사용 언어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 143-174

MLA

정하은(Haeun Chung),최영경(Young Kyoung Choi),임동선(Dongsun Yim).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의 이야기 산출 능력 - 과제 유형 및 사용 언어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25): 143-17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