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nglish-track International Students’ Language Perceptions and Preferences in Korean University Setting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인혜(Inhye Lee)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101호, 85~11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대학의 영어트랙 유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다중언어 인식 및 언어 선호 양상을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어트랙 유학생은 교사나 행정 직원 등 대학 구성원과 영어로 소통하기를 선호하며, 영어 숙달이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한국어 수업에서도 한국어보다는 한국어와 영어를 함께 제공하는 이중언어 접근을 선호했으며, 말하기 상황에서는 한국어를, 이메일 등 쓰기 상황에서는 영어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학년 간 차이에서는 특히 전공 진입 후 복잡한 의사소통의 요구가 커지는 2학년 집단이 다른 학년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대학 적응 단계별로 영어와 한국어에 대한 요구와 선호도가 달라짐을 시사한다. 이러한 학습자의 언어 인식과 요구를 바탕으로, 기존의 목표어 중심 접근과 달리, 이중언어 또는 영어 사용이 영어트랙 학습자들의 인지적·정서적 부담을 경감시키고 한국어 학습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quantitatively investigated language perceptions and language preferences of 169 English-track international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strongly preferred using English when communicating with faculty and administrative staff. Interestingly, they also perceived English proficiency as a resource that could facilitate their Korean learning. In Korean language classes, they favored a bilingual approach over Korean-only instruction, preferring Korean for spoken interaction and English for written communic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emerged across school years. In particular, second-year students who had recently transitioned to their majors and faced more complex communication demands exhibited notably different preferences than those of other cohorts. Based on these findings, Korean language classes for English-track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reflect learners’ linguistic needs by academic year. Bilingual or English communication in course instructions and emails may support students’ cognitive and emotional adjustment, while providing grammar and vocabulary materials in both languages for first- and second-year students can facilitate academic adaptation. At the same time, sustained support for Korean learning is essential for English-track students who must take general or major courses conducted in Korean.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결과 분석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