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화 시에 나타나는 주체와 벤야민의 알레고리론과의 상관성 연구 - 「해협의 로맨티시즘」과 「구름은 나의 종복(從僕)이다」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 in Imhwa's Poetry and Benjamin's Allegory - Focusing on “Romanticism of the Strait” and “The Clouds Are My Servants”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유현승(Hyun-seung Yoo)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25輯, 305~359쪽, 전체 5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이글은 임화 시에 나타나는 주체와 알레고리 양상에 대하여 논하였다. 『현해탄』에 실린 두 편의 시 「해협의 로맨티시즘」과 「구름은 나의 종복(從僕)이다」는 임화가 당면한 시기에 청년 주체를 대상으로 창작되었다. 이들 시를 통해 임화는 침탈의 역사를 극복해 내려는 주체적 의지와 새로운 탈주 방식을 작품 속에 마련하였다. 이때, 극복 의식은 해협 너머에서 문명의 이기를 받아들여 공동체에 유익을 주려는 이상적인 발상에서 비롯된 것이고, 탈주 방식은 실존의 지배에서 벗어나 지배자가 되려는 웅지를 드러냄으로써 발현된 것이다. 이렇듯 역사‧사회적 배경이 중요한 시적 요소로 작용하여 산출된 창작물인 만큼 두 편의 시를 벤야민의 알레고리 개념과 데카르트의 정념 개념을 전유하여 함께 논의하였다. 시대 현실 속 사회적 타자와 공감하면서 새로운 세계를 지향하는 임화의 시적 방법론이 벤야민의 알레고리 개념과 친연성을 갖기 때문이다.
2장 ‘실존적 시점으로 소환’에서는 「해협의 로맨티시즘」을 일제 강점기라는 엄혹한 시대에 서구 문명을 습득하여 민족을 이롭게 하려 한 조선 청년을 하나의 ‘존재자’로서 설정하여 실존적 시점으로 소환하는 방식에 주목하였다. 이 시에 드러나는 청년의 비상한 태도는 일제의 폭압에 저항할 무기를 구하러 떠나는 신화 속 용사의 도정과 다르지 않다. 이러한 관점에서 「해협의 로맨티시즘」은 임화의 낭만주의 개념을 떠올리게 한다. 그러므로 2장에서는 임화의 낭만주의와 ‘호미 바바의 양가성 개념’을 관련지어 분석하며 구체적인 시의 해명 과정에서 크로포트킨의 저작 『청년에게 고함』을 함께 전유하였다. 이 시에서는 영혼의 동요를 일으키는 주체와 바다로 항해하는 주체가 수평을 이룬다. 이러한 시적 실천은 낭만주의와 관련한 알레고리로 나타난다. 낭만과 알레고리의 작동으로 이어지는 언술은 복합성과 인과성을 뚜렷하게 드러내며 자연 이미지의 불변과 순환을 고루 노출하여 설렘과 두려움이 공존하는 명암의 아이러니로 표출된다.
3장 ‘몽상 세계로 투사’에서는 「구름은 나의 종복(從僕)이다」를 통해 시인의 영혼 안에서 일어나는 동요를 ‘구름’과 ‘말’이라는 구체적인 시어를 통해 이미지로 구현하고 몽상으로 이끄는 상황에 집중하였다. 구체적으로 감각->지각->인식->이미지에 이르는 구조화 과정을 가치, 제약, 운동의 속성을 담지한 데카르트의 ‘정념’ 개념과 연결하였다. 정념은 의미를 둔 하나의 대상에 대한 감정만 고양하고 다른 감정은 배제하거나 평가 절하하여 공허하게 만든다. 「구름은 나의 종복(從僕)이다」에 나타난 정념은 시‧공간적으로 대상을 제한한다. 첫째, 공간적 한정성은 의식 영역과 관심 분야로 공간을 축소한다. 둘째, 시간적 한정성은 정념에 사로잡힌 사람을 과거의 어떤 순간이나 일정한 시간적 상황에 붙잡아 둔다. 이러한 제약은 부정적인 면과 긍정적인 면을 모두 포괄한다. 그러므로 개인의 세계가 보편적 세계의 리듬에 맞춰 작동하지 않는다. 「구름은 나의 종복(從僕)이다」에서는 당면한 시대의 역사성 속에서 운동하는 시인의 영혼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텍스트에 시적 몽상을 드리운다. 이는 시 밖의 사태를 시 안으로 견인한 시적 실천이라 할 수 있다. 즉, 시에 드러나는 실존을 덜어내고 영혼의 실천으로 빈자리를 채우는 것이다. 이는 저항의 알레고리로 표상된다. 영혼의 시적 판결은 현재하는 정념 사이의 대립을 해소하고 그것을 순차적으로 끌어당겨 영혼이 존재할 수 없는 사태를 차단한다. 그런데 데카르트는 두뇌 상태와 정념 사이의 연결은 분리하거나 재설정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정념을 규제할 수 있다는 말이다.
임화의 시적 언술은 매우 자유분방하다. 전위적인 시적 실험에 익숙한 시적 방법론은 그의 텍스트에서 낭만적 실천으로 실존을 증명하거나, 정념을 몽상으로 이행해 나가기도 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이 연구의 대상 텍스트인 두 편의 시에 등장하는 청년 주체에게 이성과 정념은 공존하거나 양가감정으로 드러난다는 것이다. 이는 시적 주체가 상황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발휘되는 낭만성이나 정념의 제약적 속성이 온전한 시적 실천의 작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상반되는 감정이 조력하여 상보 관계를 이룬다는 의미이다. 이 두 편의 시는 대상에 대한 동경과 기대라는 시적 화자의 동요를 타자의 영혼에 전이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시인이 실존 상황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다 드러내지 않고 욕망하는 지점으로 나아가는 점에 주목하여 새로운 시 해석의 방법론을 규명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the subjectivity and allegorical aspects that emerge in Im Hwa's poetry. Two poems, “Romanticism of the Strait” and “Clouds Are My Servants,” from “Hyeonhaetan,” were written for the youth of the time Im Hwa faced. Through these poems, Im Hwa establishes a subjective will to overcome a history of invasion and a new method of escape. This sense of overcoming stems from an idealistic notion of embracing the benefits of civilization from across the strait and benefiting the community, while this method of escape manifests through the aspiration to escape the domination of existence and become a ruler. As these works are born from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s that play a crucial role in their poetic development, these two poems are discussed together, drawing on Benjamin's concepts of allegory and Descartes's concepts of passion. This is because Im Hwa's poetic methodology, empathizing with the social other within the realities of his time and striving for a new world, shares affinities with Benjamin's concept of allegory. Chapter 2, “Summoning to an Existential Perspective,” focuses on the way “Romanticism of the Straits” is summoned to an existential perspective by establishing the young Korean man who, during the harsh era of Japanese colonial rule, sought to acquire Western civilization and benefit his nation as a “being.” The extraordinary attitude of the young man revealed in this poem is not unlike the journey of a mythical warrior seeking weapons to resist Japanese oppression. From this perspective, “Romanticism of the Straits” evokes Im Hwa's concept of Romanticism. Therefore, Chapter 2 analyzes Im Hwa's Romanticism in relation to “Homi Bhabha's concept of ambivalence,” and in the process of elucidating the poem, Kropotkin's “Call to Youth” is also appropriated. In this poem, the subject of the soul's unrest and the subject sailing the sea are parallel. This poetic practice appears as an allegory related to Romanticism. The utterances that lead to the operation of romanticism and allegory clearly reveal complexity and causality, equally exposing the immutability and cyclicality of natural imagery, resulting in an irony of light and shade where excitement and fear coexist.
Chapter 3, “Projection into a Dream World,” focuses 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poet's inner turmoil, expressed through the specific poetic terms “cloud” and “words,” leads to a dreamlike state, embodying the imagery of “cloud” and “words.” Specifically, the structural process from sensation to perception to cognition to image is linked to Descartes' concept of “passion,” which embodies the properties of value, constraint, and movement. Passion exalts only the emotions associated with a single meaningful object, excluding or devaluing other emotions, rendering them empty. The passions depicted in “Clouds Are My Servants” limit the object both spatially and temporally. First, spatial limitation reduces space to the realm of consciousness and interest. Second, temporal limitation confines a person caught in passion to a specific moment in the past or a specific temporal situation. This limitation encompasses both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Therefore, the individual's world does not function in sync with the rhythm of the universal world. In “Clouds Are My Servants,” the poet demonstrates the poet's soul, moving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present era, by injecting a poetic reverie into the text. This can be considered a poetic practice that draws events outside the poem into the poem. In other words, it subtracts the existence revealed in the poem and fills the void with the soul's practice. This is represented as an allegory of resistance. The soul's poetic judgment resolves the conflict between present passions and sequentially draws them together, thereby blocking a situation in which the soul cannot exist.
목차
1. 서론
2. 「해협의 로맨티시즘」-실존적 시점으로 소환
3. 「구름은 나의 종복이다」-몽상적 세계로 투사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상허학보
- 국어국문학
- 한민족문화연구
- 상허학회
- 브레히트와 현대 연극
- 어문연구
- 비교한국학
- 현대문학의 연구
- 한국근대문학연구
- 한민족문화연구
- 한국시학연구
- 민족문학사연구
- 국어문학
- 문학교육학
- 한국시학연구
- 한국시학연구
- 어문논집
- 한국현대문학연구
- 한국현대문학연구
- 비평문학
- 서울대학교박사논문
- 철학논총
- 한국 언어문학
- 비평문학
- Journal of Korean
- 비교문학
- 비평문학
- 문학교육학
- 한국근대문학연구
- 한국근대문학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