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olitics of Emotion in Park In-hwan’s Poetry and the Community of Sorrow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류상범(Sang-beom Ryu)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25輯, 267~303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박인환 시와 산문에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증오, 공포, 슬픔 등을 감정 정치의 차원에서 분석함으로써 그것들이 단순히 개인적이고 즉각적인 반응이 아니라 해방기에서 전후(戰後) 시기에 이르는 역사·사회적 맥락 속에서 생성·순환·축적된 결과임을 규명하였다. 특히 국가 만들기 기획과 반공주의 이데올로기의 성립, 전쟁 수행 과정 등에서 주조·강제된 공통 감정이 시민들의 사유를 획일화하고 우리/적, 주체/타자의 이분법을 강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때 박인환 시의 슬픔은 공통 감정 체계가 함의하는 당대 지배 이데올로기의 폭력과 모순을 드러내고 위계화된 타자성에 균열을 가하며 새로운 공동체를 희구한 미적 대응이었다.
박인환은 「새로운 동시와 시민들의 합창」 서문에서 근대적·현실적 모순의 핵심 정서로 ‘증오’를 거론한다. 이에 착안하여 박인환 초기시의 슬픔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 시기 박인환은 증오가 형성된 역사를 시화하며 당대 지배 이데올로기가 수행하는 분할과 배제의 정치를 드러낸다. 근대적 동일성의 폭력이 실행되는 데 있어 감정이 타자의 몸을 구분 짓는 지점을 포착한 것이다. 「인천항」에서처럼 슬픔의 역사를 추적하며 타자의 몸에 새겨진 이데올로기의 폭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김기림, 오장환 등의 시적 작업을 계승하면서도 슬픔의 역사를 전경화하며 자신만의 시세계를 구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이 「남풍」, 「인도네시아 인민에게 주는 시」에서도 드러나지만 성급한 공감이 수반하는 폭력이 노출되며 기존 지배 이데올로기가 수행했던 폭력의 구조는 반복하는 한계로 작용하기도 한다.
해방기 수행되었던 증오의 정치는 한국전쟁 전후 더욱 강화되었으며 세 차례의 전향 성명서 발표라는 이례적 사건이 상징하듯 박인환은 그것에 깊이 연루되었다. 그 결과 박인환 전쟁 관련 산문에는 당대 국가가 조성하고자 한 증오, 공포 등이 공적 내러티브화 되어 나타난다. 공포는 증오와 연동되며 배제와 혐오의 정치를 강화하였고 전쟁 수행을 위한 감정으로 동원되었다. 한편, 당대 정훈 문학은 숭고의 감정을 통해 “祖國”이라는 상상된 공동체에 “殉”하도록 이념을 통제하는 기제였다. 하지만 정훈 시집 『창궁』에 수록된 「신호탄」은 비애의 정서를 드러냄으로써 절대적 심급으로서의 국가 형성을 지연하는 효과를 산출한다. 이러한 양상은 「어린 딸에게」, 「서적과 풍경」, 「어느 날」 등의 시에서 확장되고 나아가 슬픔은 자유에 배치되며 타자 지향성, 이데올로기의 허위 등으로 의미화된다. 궁극적으로 박인환의 대표작 「목마와 숙녀」는 슬픔을 통해 타자와 공감하고자 했던 시이며 새로운 자유 공동체를 지향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박인환 시에 대한 이러한 해석은 혐오의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에도 유의미한 의미를 제안할 것이라 생각한다. 더욱이 혐오에 의해 분열되고 자유를 주장하면서 자유를 제한하려는 세계에서 슬픔을 자유에 배치한 박인환의 시세계는 ‘자유’의 차원에서도 논구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recurrent emotions of hatred, fear, and sorrow in Park In-hwan’s poetry and prose through the lens of the politics of emotion, revealing that these emotions were not merely personal and immediate reactions but rather the product of historical and social processes of formation, circulation, and accumulation spanning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the postwar era. In particular, it identifies how common emotions, molded and enforced in the projects of nation-building, the establishment of anti-communist ideology, and the conduct of war, served to standardize civic thought and reinforce the dichotomies of us/them and subject/other. In this context, the sorrow in Park In-hwan’s poetry functioned as an aesthetic response that exposed the violence and contradictions inherent in the dominant ideology’s emotional regime, destabilized hierarchical otherness, and aspired toward a new form of community.
In the preface to A New City and the Chorus of Citizens, Park explicitly names “hatred” as the core sentiment of modern and contemporary contradictions. Drawing on this insight,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sorrow in Park’s early poetry. During this period, Park represented the historical processes by which hatred was formed, thereby revealing the politics of division and exclusion enacted by the dominant ideology of his time. He discerned the role of emotion in marking the boundaries of the other’s body within the violence of modern sameness. Works such as Incheon Port trace the history of sorrow to expose the violence of ideology inscribed on the body of the other. While this approach inherits elements from the poetic projects of Kim Ki-rim and Oh Jang-hwan, it foregrounds the history of sorrow to construct a distinctive poetic vision. Such tendencies are also visible in South Wind and Poem to the People of Indonesia, though here the violence entailed in premature empathy reveals a limitation, in that it reproduces the very structures of violence previously enacted by the dominant ideology.
The politics of hatred, already at work in the liberation period, intensified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and—as symbolized by the extraordinary episode of Park’s three public conversion statements—he became deeply entangled in it. Consequently, his war-related prose reflects the public narrativization of hatred and fear fostered by the state. Fear, intertwined with hatred, reinforced the politics of exclusion and aversion, and was mobilized as an emotion for war-making. Meanwhile, contemporary military propaganda literature functioned as a mechanism to ideologically regulate the populace into “sacrificing” themselves for the imagined community of the “Fatherland” through the emotion of the sublime. However, the poem Signal Shot in the military anthology Blue Sky reveals an affective register of sorrow, producing a delaying effect in the formation of the state as an absolute authority. This tendency expands in poems such as To My Little Daughter, Books and Landscapes, and One Day, where sorrow is aligned with freedom and signifies orientation toward the other as well as the exposure of ideological falsity. Ultimately, Park’s representative work The Wooden Horse and the Lady can be understood as a poem seeking empathy with the other through sorrow and aiming toward a new free community.
Such an interpretation of Park In-hwan’s poetry offer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present age of hatred. In a world fractured by hatred and where freedom is claimed yet simultaneously curtailed, Park’s poetic vision—placing sorrow in alignment with freedom—warrants further exami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freedom.” This will be taken up in subsequent research.
목차
1. 서론
2. 증오, 고통의 정치와 ‘슬픔의 역사’에 대한 응시
3. 슬픔의 위계와 공동체 지향 의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그여름
- 푸른사상
- 푸른사상
- 푸른사상
- 현대문학의 연구
- 창작과비평
- 우리문학연구
- 비평문학
- 우리말 글
- 한국문예비평연구
- 한국문학이론과비평
- 우리문학연구
- 한민족문화연구
- 한국문학이론과비평
- 국제한인문학연구
- 한국시학연구
- 한국시학연구
- 어문론총
- 이상리뷰
- 비교한국학
- 현대유럽철학연구
- 박인환
- 비평과이론
- 비평문학
- 사회와 역사
- 국제어문
- 한민족 문화연구
- 문화와 융합
- 반교어문연구
-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우리말 글
- 한국문학논총
- 민족문학사연구
- 겨레어문학
- 춘원연구학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