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dropout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using survival analysi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김하정(Ha-Jeong Kim) 원효헌(Hyo-Heon Won)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3호, 341~35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교 입학 후 학업 중단 사건이 주로 발생하게 되는 시기와 학업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업 지속을 위하 시사점을 도출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가나다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데이터 중 고등학교 1학년에서졸업 후 시점에 해당하는 6차(2018)~9차(2021)년도 데이터를 대상으로 생존분석 방법 중 생명표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콕스회귀분석을 통해 학업 중단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중단은 주로 고2와 고3 시점에 집중되었으며, 중도탈락의 주요 영향 요인은 학업적 자아개념과가족 관련자아개념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가족에 대한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중도탈락 위험은 약 59.4% 감소하며, 학업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약 66.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특성화고 학생의 학업 지속을 위해 맞춤형 학습지원 체계 구축, 가정 내 정서적지지를 위한 학부모 연계 프로그램 마련 및 지역 사회자원활용메토링확대, 시기적 특성을 고려한 적시, 적절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valence of dropout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identifies contributing factors to inform strategies for enhancing their persistence. Method: Using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8-2021), covering students’ from first year of high school to the post-graduation phase, life table analysis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were conducterd as survival analysis methods to examine factors associated with academic interruption. Results: Dropout were primarily concentrated in the second and third years of high school. Academic self-concept and family-related self-concept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Higher family-related self-concept reduced dropout risk by 59.4%, and higher academic self-concept by 66.9%. Conclusion: The results underscore the need for personalized learning support, parent engagement programs to promote emotional support at home, and expanded community-based mentoring. Timely interventions should target periods when students are most vulnerable to drop ou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